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해외 라이선스 뮤지컬이 어떤 과정을 거쳐 한국 뮤지컬 시장을 반 영한 콘텐츠로 변화하게 되는지를 분석하고 뮤지컬 제작사의 일방향적인 기획이 아 닌 수용자 및 배우와 상호작용하는 지점에 대해 검토한다. 상업적인 분야로서 일컬 어지는 뮤지컬이지만 현대 문화산업과 자본주의에 속하는 다양한 행위자가 참여하 고 있는 영역인 만큼 그 안에서 만들어지는 텍스트가 내포하고 있는 다양한 기호와 관계들은 매우 복잡하게 얽혀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라이선스 뮤 지컬의 로컬화라는 의미가 단순히 배우나 언어가 한국적인 것을 가리키는 것에서 진화하여 뮤지컬을 실행시키는 주체로서의 배우, 그리고 그들과 한국의 관객을 위해 텍스트가 미세하게 조정되는 결정에 이르기까지 한국화에 해당되는 모든 요소를 가 리키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그 사례로 라이선스 뮤지컬로서 10주년 공연을 한 <삼 총사>를 선택하였다. 뮤지컬 <삼총사>는 관객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스펙터클화 된 엔터테인먼트물로 변형되고, 그것을 충실히 수행하기 위해 배우와 캐릭터들 또한 미 세하게 어떻게 조정되었는지를 보여준다. 또한 그것은 일방적인 생산자의 선택이 아 닌 뮤지컬의 산업화라는 맥락 속에서 한국 관객의 취향을 고려하고 배우의 욕망에 의해 탄생한 상호작용의 결과물로 해석할 수 있다.


In this study, we analyzed how foreign licensed musicals are transformed into contents that reflect the Korean musical market. It examines the point of interaction with the audience and actors, not the one-way planning of the musical production company. In this paper, the localization of licensed musicals is considered as a process in which text is finely adjusted for actors as the actors who perform musicals, and Korean audiences, from simply pointing out that the actor or language is Korean. As an example, in this study, <The Three Musketeers> who performed the 10th anniversary performance were selected. The musical <The Three Musketeers> was transformed into a spectacleized entertainment piece in the interaction with the audience. Also, we found that this work should take into account the tastes of Korean audiences in the context of the industrialization of musicals and should be interpreted as the result of interactions created by actors’ desires. Furthermore, this study suggests that Korean musicals should take into account that active audiences’ cultural consumption methods and emotional exchanges are a important ba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