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도덕규범이 헌혈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려고 했고 통합적인 접근 에서 그 영향을 촉진하는 요인으로 자기효능감과 사회자본을 조절변인으로 다뤄 도 덕규범과 자기효능감 및 도덕규범과 사회자본요인과의 상호작용효과를 살펴보았다. 무엇보다 이 연구에서는 그 상호작용효과를 살펴봄에 있어 남녀 성별 차이가 있는지 에 관심을 가졌고 여성은 도덕규범과 자기효능감이, 남성은 도덕규범과 사회자본요 인간에 상호작용효과가 있는지를 다뤘다. 서울시 293명의 대학생 대상의 조사에서 본 연구의 결과에서는 도덕규범의 영향이 남녀 모두에서 유의미한 것을 제시했다. 자기효능감과 사회자본요인을 포함했을 때에는 남녀 모두에서 자기효능감의 영향력 이 가장 컸고 도덕규범은 여성에게서만 유의미했으며 사회자본요인들의 영향력은 남 녀 모두에서 낮았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주목했던 도덕규범과 자기효능감, 그리고 도덕규범과 사회자본요인과의 상호작용효과의 남녀 결과를 보면 본 연구의 예측대로 여성의 경우는 도덕규범과 자기효능감과의 상호작용효과가, 남성의 경우는 도덕규범 과 사회자본의 한 요인인 사회신뢰와의 상호작용효과가 유의미해 성별 차이를 보였 다. 이러한 결과로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가설들을 대체로 지지했다. 이에 정책적 함의를 논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moral norm on blood donation. In addition, both self-efficacy and social capital are considered as moderator variables in order to explain blood donation in an integrated approach. Then, this study tests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moral norm and both self-efficacy and social capital on blood donation. This study focuses on a gender difference and tests whether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moral norm and self-efficacy on female and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moral norm and social capital on male are relatively stronger. Using data from 293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this study tests several hypotheses. Result show that moral norm has a significant effect on blood donation in both male and female. It is also found that the effect of self-efficacy is the most strong, but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factors are not significant in both male and female. However, when self-efficacy and social capital are considered as moderator variables in both male and female, it is revealed that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moral norm and self-efficacy is significant on female, while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moral norm and social trust on male is significant. These results show a gender difference in the interaction effects and support hypotheses in explaining blood donation. The policy implications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