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오휴자 안신(1569~1648)은 예학에 관한 독특한 저술로 한국 예학의 성립 단계에 상당한 영향을 끼친 인물이다. 그리고 그가 지은 밀양의 다섯 현인에 대한 산문 기록과 시는 한국 유학의 계보를 파악하고 당시 지역사회의 동향을 알 수 있는 소중한 자료이다. 그의 예학과 작품 세계에 대해 처음 종합적인 고찰한 결과를 요약한다. 첫째, 오휴자는 부친과 예학 전문가인 재종숙부 안여경을 통해 가학을 전수했고, 이들을 연결고리로 삼아 사우의 범위와 지역을 확장했다. 둘째, 『가례부췌』는 임란으로 무너진 예학 질서를 회복하기 위해 중국과 우리나라의 예설을 광범위하게 섭렵해 1628년에 6권 분량으로 일차 완성했다. 이후 주석을 증보하거나 산삭해 오휴자의 생존 시 최종본은 8권 4책 형태의 필사본이었다. 셋째, 목판본 『가례부췌』 발간은 1758년 첫 시도되었으나 담당 주역의 타계로 중지되었고, 1788년경 목판본 저본이 완성되었으나 간행 담당자의 별세로 또 중단되었다. 결국 1899년에 이르러 후손들이 비로소 완성했으니 첫 간행을 시도한 지 140년만이었다. 넷째, 「오현전」은 예학을 통한 오휴자의 장소 사랑이 고을 인물의 현창으로 나타난 것이다. 그는 立傳을 통해 지역 사람들의 희미한 기억과 왜곡된 시선을 바로잡음으로써 그들의 인문 가치가 밀양인의 자부심으로 작동하기를 기대했다. 다섯째, 오휴자는 장소성이 짙은 문화 경관을 제재로 시를 지어 현재를 성찰하는 역사의식을 강조했고, 은거를 지향한 창작 경향성은 선비 정신의 실천과 후진 양성을 통해 세상이 바로잡히기를 바란 데서 비롯되었다. 끝으로 새로 발견한 시 두 편은 그의 작품 세계를 보완하는 역할을 할 것이다.


An-shin(1569~1648)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tage of establishment of theory of Rituals in Korean, and his prose and poem are valuable data to understand the genealogy of studying in Korea and to learn about the trends of the community at that time. Below is the result of his first consideration of his art and the world of work. First, the “Garyebuchwe” was first completed in six volumes in 1628, following extensive examples from China and Korea in order to restore the order of the arts collapsed by the Imjin War(壬辰倭亂). Afterwards, the survivor's survivor by supplementing or shaping the tin was a manuscript version in the form of eight volumes and four books in 1628. Second, the publication of the woodblock version was first attempted in 1758, but it was stopped due to the death of the leading role, and in 1788, the woodblock version was completed, but it was also discontinued due to the death of the publishing staff. It was finally completed in 1899. Third, “Ohyeonjeon” is porthole of five person’s who would choose by the topophillia through his theory of rituals. He hoped that by correcting the faint memories and distorted gazes of the local people through his entry into the field, he expected their humanities to work with the identity of Miryang(密陽). Fourth, it emphasized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of reflecting on the present by building poems with cultural landscape as a sanction, and the creative tendency toward retirement originated from wishing for the world to be corrected through the practice of the Scholar spirit and fostering backwa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