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글은 15세기 최고 지성인이었던 洪貴達의 국제 교류 양상과 세계 인식을 다루었다. 원접사 및 종사관의 자격으로 중국 사신 祁順‧艾璞‧王獻臣 등을 만나 교류하면서 그는 자국 문명에 대한 자부심을 드러내었다. 베트남 사신들과의 교류에서는 조선과 베트남이 같은 유교국가라는 의식 아래 우호적 감정을 내보였다. 홍귀달을 비롯한 당대 지식인들은 동일한 유교국가에 속했던 문인들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서 함께 교류하기도 하였으나, 티베트와 같이 유교국가가 아닌 주변국에 대해서는 차별적인 태도를 보였다. 불교 국가인 일본도 마찬가지였다. 홍귀달이 교류한 일본 승려 道誾에게 쓴 전송시에는 조선이 일본보다 우월한 유교국가라고 여기는 자신의 마음과 불교를 존숭하는 일본을 유교로 교화하고자 하는 의지가 드러나 있다. 유럽 및 아프리카까지 그려져 있는 《混一疆理歷代國都之圖》에서 확인할 수 있듯 조선 전기의 지식인들은 후기에 비해 적어도 지리적으로는 더 넓은 세계적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다만 한계는 존재했다. 세계의 중심에 그려진 중국, 매우 확대되어 그려진 조선, 작게 그려진 주변국들과 같은 것이다. 중국과 조선이 세계의 중심이고 다른 지역은 주변국으로 여겼던 것이다. 조선 후기에는 지리적 인식도 이보다 더 협소해질 뿐 아니라 강화된 화이관으로 지식인들의 세계 인식은 더욱 협소해진다. 이를 살펴보는 것은 추후의 과제이다.


This article investigated the international exchange patterns and the perception on world by 洪貴達 who was one of the top class intellects in the 15th century of Joseon era. While interacting with the envoys such as 祁順‧艾璞‧王獻臣 as a title of a reception officer and a secretarial officer, he had expressed a pride for the civilization status of his own nation. In the exchange with envoys from Vietnam, he displayed amicable emotion to them under the perception that both Joseon and Vietnam are the nations in Confucianism. The intellects at the time including 洪貴達 acknowledged the litterateurs who were in the nations of the same Confucianism boundary and interacted with them, however they exhibited discriminatory attitudes against those from the neighboring non-Confucian nations such as Tibet. The same was applied to Japan that was Buddhist nation. A farewell poem written by 洪貴達 when interacting with 道誾, a Japanese monk, revealed his mind that Joseon is the Confucian nation superior to Japan and his intention to turn Japan that reveres Buddhism into Confucianism. As shown in 《混一疆理歷代國都之圖》in which even Europe and Africa were illustrated, the intellects of early Joseon period had a wider global perception at least in the geographic perspective compared to those of the late Joseon period. However, there were prominent limitations, for instance, China was depicted as the center of a world, Joseon was drawn in a great magnitude and surrounding nations were illustrated in small scale. This implies that China and Joseon were thought to be a core of the world and other areas were deemed as just surrounding nations. In the late Joseon period, not only the geographic perception but also the global perception of the intellects has become even narrower than this due to the intensified China centric view. Investigation on this is a task for future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