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개인의 이야기를 주변화하지 않고 핵심적 주체로 드러내기 위한 자전적 이야기식의 자문화기술로 놀이이상주의자였던, 그러나 교육자였던 내가 가진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교육에서 놀이의 자리매김의 과정이 어떻게 변화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나는 놀이가 전부라는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공동육아와 대안교육을 했으며, 놀이 공간으로 숲을 찾았다. 그리고 그 속에서 겪게 되는 경험과 상심을 통해, ‘교육에서 놀이의 자리매김‘에 대한 변화 과정을 겪었다. 이야기는 놀이를 교육의 도구로 보는 것에서 시작한다. 이후 놀이이상주의자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놀이이상주의자로 본 모든 놀이에는 교육이 있었다. 놀이가 곧 교육이었다. 그러나 놀이가 이상화 되고 있었던 그 놀이 현장에서 아이들은 교육을 소환했다. 그들이 가진 본능으로 교육을 소환하고, 그 소환의 한 통로로 교사인 나를 활용하였다. 누구나 할 수 있을 것 같은 놀이 지킴이, 그리고 관찰자와 기록자에 머물러 있던 난 아이들에 의해 교육자로 다시 소환 받았다. 교육의 출현은 나로 하여금 놀이와 교육이 서로를 응대하고 있음을 발견하게 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changes in identity of pla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starting from the critical awareness as both a play-idealist and an educator and proceeds in a mystory type of auto-ethnography to In order to realize the ideal in which play is everything, co-parenting and alternative education were implemented and a visit was made to a forest as a play area. Through experiences and heartaches encountered therein, it is a living story about the process of change regarding the "identity of play in education". The story begins with viewing play as an instrument of education leading to a play-idealist. From the perspective of a play-idealist, all play contains education within it. The play was, indeed, the education. However, at the site of ideal play, the children summoned education. They summoned education with the instincts they possessed, and utilized me (the teacher) as the channel for the summoning. The teacher, a play-keeper in a task that seemingly anyone could do, and the teacher, who remained as an observer and a recorder, was summoned anew by the children as an educator. The emergence of education led to the discovery that play and education responded to each oth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