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에서는 전쟁이 끝나고 병사들이 마주해야 했던 ‘ 또 하나의 전장(戰場)’으로 불리는 PTS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가 전후 일본사회에서 어떤 식으로 은폐되고 동시에 드러났는지 살펴볼 것이다. 오늘날 ‘ 트라우마’는 중요한 개념이 되었고, 과거의 경험으로 인한 정신적 고통이 현재에까지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매우 정세적인 개념으로서의 위상 또한 갖는다. 일본의 사례는 베트남전쟁 이후 한국사회에서 전쟁과 트라우마에 관한 집합적 기억이 부재했던 사회적 바탕을 문제삼고, 새로운 참전군인 서사뿐 아니라 병역과 군대에 관한 한국사회에서의 현재적 문제를 다루기 위한 하나의 참조점이 될 것이다. 베트남전쟁 참전군인들이 귀국 후에 겪게 되는 PTSD를 정치 사회적 분석으로 접근하는 국내 연구는 아직 미흡한 단계에 머물러 있다. 이 글은 억압의 복잡성이 교차하는 참전군인들의 경험, 그중에서도 이제껏 담론과 운동의 장(場)에 진입하지 못했던 상이군인들의 PTSD에 대한 정치사회적 진단을 통해서 가해와 피해의 이분법을 넘어설 수 있는 비판의 단서와 가해자들의 경험이 말해질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고, 베트남전쟁이 지금-여기의 ‘우리’에게 무엇인지를 묻는 새로운 문제 지형을 창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rauma has emerged as a crucial term for understanding the physical and mental changes people undergo after experiencing intense fear. This paper recognizes the problematic absence of a collective memory of war and trauma in Korean society following the Vietnam War. In this context, the act of taking up the example of Japan and revisiting the experiences of soldiers at that time serves as a reference point around which to interrogate the narrativization of soldiers’ experiences in the Korean context, as well as larger debates surrounding the army and military duty in Korean society. This endeavor is also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an opportunity for soldiers themselves to come face to face with those things they have not been able to speak about. Through an examination of PTSD and its surrounding discourses, this paper attempts to move beyond the victim/aggressor binary and explore possibilities for aggressors to speak of their experi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