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Considering the recent scholarly trend in understanding Paul in light of Hellenistic philosophical traditions, Philo is an important figure to explore and compare with Paul, as he is also a diaspora Jew steeped in the Hellenistic intellectual milieu of Paul’s day. The present article seeks to contribute to the Korean scholarship on Philo by exploring Philo’s reading of Genesis 1-3 and his understanding of the origin of sin and death. For Philo, God created the material world and the embodied humanity according to their non-material, intelligible paradigms, and it is not Adam’s transgression but the mutability of this material world and the embodied state of humanity that give rise to human sins, understood as passion’s dominance over reason, and also cause death, understood as the moral decline of the soul during its embodied existence. Only the category of people called “Israel” can overcome sin with the aid of the Mosaic law and also overcome death by attaining to blissful disembodiment.


헬라철학 전통에 비추어 바울을 해석하는 최근의 추세를 고려할 때, 바울과 같이 디아스포라 유대인이며 당대 헬라 철학의 전통에 영향을 받은 필론은 주요 연구대상이며 바울과 비교할 만한인물이다. 본고는 필론에 대한 연구에 기여하고자 그의 창세기 1- 3장 이해와 죄와 사망의 기원에 대한 견해를 탐구한다. 필론에의하면, 하나님은 물질세상과 몸을 가진 인류를 만들면서 이들의본체에 해당하는 비물질적이고 지성적인 패러다임을 먼저 만들고이후 물질세상과 몸을 가진 인류를 지었다. 필론에게 죄는 욕망이 이성을 지배하는 현상인데, 이는 아담의 타락 때문이 아니라물질로 이루어진 피조세계의 가변성과 몸을 가지고 존재해야 하는 인간의 존재방식 자체로 인해 생겨난 것이다. 욕망이 이성을장악한 영혼의 상태 자체를 사망으로 이해하는 필론은 사망도 아담의 타락이 아니라 창조세계의 물질성과 몸에 갇혀있어야 하는인간의 존재방식에서 기인된다고 보았다. 필론에게는 “이스라엘” 이라고 불리는 자들만이 모세언약을 통해 욕망을 제어하여 죄를극복하고 몸을 벗어버리는 해방을 통해 사망을 극복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