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역사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이 증대되면서 각 국가나 기관별로 이에 대한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특히 미국을 비롯한 각국의 군사연구기관은 역사프로그램을 구축하여 자료수집, 공간사(Official History) 편찬, 전사교육과 연계, 유물관리 등의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국방부를 비롯한 각 군의 역사자료를 수집·관리하고, 이를 토대로 역사서를 발간하기 위한 기능과 조직을 갖추고 있다. 역사서를 발간하기 위해서는 기초 사료가 필수적이며 그것의 수준에 따라 역사서의 질은 달라진다. 따라서 사료가 온전하게 관리·보존되고, 이러한 사료가 왜곡됨이 없이 올바르게 기록될 때 신뢰성 있는 공간사로서 가치를 인정받게 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방정기역사서를 작성했던 실무경험을 토대로 국방역사서 편찬의 문제를 식별하고 발전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외국의 국방 관련 공간사의 편찬 사례와 함께 우리나라의 국방부 및 각 군에서 발간하는 국방역사의 편찬 실태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식별하였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제1장 서론에서 본 연구를 위한 문제 제기에 이어, 제2장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해 분석된 외국 군사연구기관의 편성과 국방역사 편찬 사례를 연구하고 3장에서는 우리나라의 국방역사 편찬 실태를 분석하였다. 3장의 우리의 국방역사 편찬 실태분석에서는 편찬기구 및 편찬체계, 연구조직과 인적구성, 편찬업무체계, 자료수집 및 관리 분야를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제4장에서는 제3장에서 분석한 내용을 토대로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결과가 국방 관련 정기역사서를 편찬·발간하는 군사연구기관은 물론 이를 위해 사료를 제공하는 군사업무담당자들에게 방향을 제시하고, 군사업무를 발전시키는 정책 수립과 조직 편성에 유용하게 활용되기를 바란다.


These days, each country or institution is strengthening its expertise in the field of history due to the increasing importance of history. In particular, military history research institutes in the U.S. and other countries have established history programs to collect historical records, compile official history, link with war history education, and manage relics. The South Korean military also has the function and organization to record and study the history of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and each military and can also publish history books related to national defense. Basic data is needed to prepare these history books, and the quality of the history book varies depending on the level of the data. Therefore, when the data are kept intact and these data are correctly recorded without distortion, it can be recognized as the ministry’s credible history boo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problems in compiling national defense history books and to present development plans based on practical experience in writing national defense history books regularly. To this end, the problem was identified by analyzing the actual state of compiling national defense history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and each military in Korea, along with examples of compilation of foreign official history regarding national defense history.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research, succeeding the proposal of problems for the research in the introduction of Chapter 1, Chapter 2 studied the compilation of foreign military history research institutes and national defense history analyzed through prior research, and Chapter 3 analyzed the actual state of compilation of national defense history in Korea. In the research analysis of our national defense history compilation in Chapter 3, we focused on the compilation organization and compilation system, research organization and human composition, compilation work system, data collection and management field. Chapter 4 presents a development plan based on the analysis in Chapter 3.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ful for setting up policies and composing organizations to develop military affairs, as well as military research institutes that compile and publish national defense history books regular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