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정동’이라는 철학적 개념이 글쓰기 교육에 가져다 줄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운동성, 물질성, 우연성, 비인격성, 관계성을 강조하는 정동은 기호적, 의미적으로 해석된 정서에서 벗어나는 새로운 관점으로 감정의 양태에 대해 이해할 수 있게 한다. 특히 교육과 문식성 분야에서는 정동을 통해 주변과 지속적으로 접촉하면서 새로운 존재가 되어가는 학습자와 필자에 관심을 가지는 변화에 주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글쓰기 앱 ‘씀’ 사용자인 현준의 ‘시인-되기’의 경험을 사례로 정동적 선회가 글쓰기와 글쓰기 교육에 줄 수 있는 함의를 제시하였다. 정동은 글쓰기를 필자가 자신을 둘러싼 타자들과의 공-동적인 관계를 맺으면서 함께 ‘무엇-되기’를 해나가는 수행으로 볼 수 있게 한다. ‘되기’의 과정으로 글쓰기를 볼 경우, 글쓰기에서 중요한 것은 행위의 결과물인 텍스트의 질이 아니라 어디론가 향해 가고, 변화해나가는 행위 그 자체가 된다. 그리고 이러한 수행은 필자를 둘러싼 수많은 것들의 우연한 부딪힘에서 발생하는 정동의 능력으로 추동되기 때문에 그 수행에는 다성적인 목소리들이 기입되면서 서로 서로에게 흔적을 남기며, 다시 흩어져나간다는 점에서 대화적이고, 윤리적인 글쓰기의 가능성을 읽을 수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exploring the possibilities that the philosophical concept of 'affect' could bring to writing education. Affect that emphasize motility, physicality, chance, impersonality, and relativity allow us to understand the aspects of feelings with a new perspective In particular, in the field of education and literacy, we paid attention to changes in interest in students and writers who are continuously becoming new beings while continuously contacting their surroundings through affect. In this study, the experience of becoming-poet by Hyun-joon, a user of the writing app 'Sseum', presented the implications of “Affective Turn” for writing and writing education. Affect allows us to see writing as an act of ‘becoming’ together while forming a co-dynamic relationship with others surrounding us. If we look at writing as a process of becoming, what is important in writing is not the quality of the text but the act of going somewhere and changing itself. And since such performance is driven by the ability of affect generated by the accidental collisions of numerous things surrounding us, the possibility of conversational and ethical writing can be read in that the perform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