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통사적 숙달도와 문장 교육의 관계를 밝히고, 중등 학습자 E의 문장 학습 사례를 중심으로 작문에서 기본 문형, 주어와 서술어의 호응, 문장의 길이 조절 학습 등의 문장 학습이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를 질적으로 검증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먼저 통사적 숙달도 측정의 개념과 분석방법을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습자 E의 문장 학습 전후 설명적 텍스트 2편을 평균문장길이(MLU-m(형태소), MLU-c(절)), 긴 문장 비율(절≧5), 주술호응 오류 문장 비율, 주술호응 오류가 있는 긴 문장 비율(절≧5), 문장 길이의 분포 등을 중심으로 비교⋅분석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를 이미 연구된 학습자 E의 문장 학습 및 글쓰기 면담 결과, 문장 학습잠재력 평가 결과와 대조하여 삼각 검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문장 학습 이후 학습자 E의 텍스트는 형태소와 절을 기준으로 한 평균문장길이가 길어지고, 긴 문장 비율(절≧5)이 늘어나 통사적 유창성과 복잡성이 높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생성한 문장이 절이 5개 구성된 문장으로 수렴하면서 학습자의 문장 생성 길이가 일정 길이를 중심으로 안정화되는 양상을 알 수 있었다. 동시에 주술호응 오류 문장 비율, 주술호응 오류가 있는 긴 문장(절≧5) 비율은 감소하여 통사적 정확성 또한 높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기본문형 따라 쓰기 학습, 주어와 서술어의 호응 오류 고쳐쓰기 학습, 문장의 길이 조절 학습 등의 문장 교육은 글쓰기 과정에서 내용보다 표현 측면의 어려움을 겪는 중등 학습자 E에게 통사적 숙달도 향상을 통한 작문 능력 발달의 효과가 있었음을 질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 of sentence learning, such as basic sentence pattern, correspondence of subjects and predicates, and learning of length adjustment of sentences, mainly in the case of sentence learning of secondary learner E. To this end, the syntactic proficiency of two explanatory texts before and after the sentence learning of the learner E was analyzed and triangular verification was performe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text of learner E after sentence learning has increased the average sentence length (MLU) based on morphemes and clauses, and the increase in syntactic fluency and complexity by increasing the ratio of long sentences (verse ≧ 5). It was confirmed that the syntactic accuracy and syntactic accuracy were improved while the syntactic error and percentage of long sentences (clause ≧ 5) with errors in shamanism were reduced.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the sentence education was an effective learning to develop the writing ability by improving the syntactic proficiency to the learner 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