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직무특성은 내적동기부여,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과 깊은 연관이 있다. 이러한 의미로 직무특성에 관한 민간 기업과 기타 민간 조직들에게서 직무특성의 효과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하지만, 군에서의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군 간부, 특히 부사관의 직무특성(직무중요성과 자율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것이다. 둘째, 직무특성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학습민첩성의 매개효과를 조사하는 것이다. 구조방정식에 따른 실증결과들은 다음과 같다.첫째, 직무중요성은 조직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직무자율성은 조직몰입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못했다. 둘째, 직무중요성은 학습민첩성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반면, 직무자율성은 학습민첩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못했다. 셋째, 학습민첩성은 직무중요성과 조직몰입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학습 민첩성은 직무자율성과 조직몰입간의 관계에서만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와 시사점들을 제시하였다.


Job characteristics have a deep relevance with intrinsic motivation,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that sense, several researches on the effect of job characteristics have been conducted in the private companies and other civilian organizations. However, there are little studies about those researches in the military contex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first,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military Non-Commissioned Officer’s job characteristics (task significance & autonomy)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second purpose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the learning ag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empirical results according to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are as follows. First, the task significance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However, the task autonomy does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Second, the task significance has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agility. On the other hand, the task autonomy does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learning agility. Lastly, the learning agility has a mediating effect on on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ask significance and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practice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