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최근 출토문헌『清華簡·一』에 출현하고 있는 ‘()’와 ‘()’ 은 ‘반문’이나 ‘원인’을 묻는 의미의 의문대체사로 기능하고 있다. 기존 연구에서 연구자들은 각자의 견해에 따라 본 글자를 의문대체사 ‘害’, ‘曷’, ‘何’ 등으로 隸定하였다. 그러나 상고시기 ‘害’, ‘曷’, ‘何’ 등 의문대체사는 각각 다른 의미로 분석될 수 있고, 또 문장에서 다르게 기능하기도 하므로 『清華簡·一』내에서 사용된 의문기능의 ‘()’와 ‘()’가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지 면밀히 분석할 필요가 있다. 또 이 분석의 결과로 戰國時期 언어의 의미적 특징과 문법 기능을 알아낼 수 있으며, 소리와 의미 관계 또한 귀납이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이에 본 연구는 상고중국어에서 의문을 나타내는 ‘害’, ‘曷’, ‘何’ 등 의문대체사의 전반적인 용례를 살피고, 본 자형과 관련된 의미라고 볼 수 있는 ‘원인’과 관련된 문장을 고찰해본다. 또 본 연구의 주된 연구대상인 『清華簡·一』두 글자가 어떤 의미로 사용되었는지 귀납해 본다.


This study examined the scope of semantic functions through the relationships among ‘Hae (害),’ ‘Gal (曷)’. First, the phonemic relationships between ‘Hae (害)’ and ‘Gal (曷),’ and among ‘Hae (害),’ ‘Gal (曷),’ and ‘Ha (何)’ were discussed. Second, the process of integration and loss of words resulting from the expansion of the range of the semantic functions of these interrogative substitutes was examined. This study analyzed the semantic range of ‘Hae (害),’ ‘Gal (曷),’ ‘Hae (害/曷),’ and ‘Ha (何)’ in the ancient period through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 words. From the analysis of semantic range, it was inferred that mainly ‘Hae (害/曷)’ was used to indicate ‘cause’, and based on this finding, the time difference of interrogative substitutes indicating ‘cause’ was conjectured. Assuming that ‘Hae(害)’ once had the function of asking the cause of a thing or an event, but as ‘Ha (何)’ came to have an integrated function, it became an interrogative substitute comprehending all the range of things and events, what is more, this study discussed specifically the range and time of its u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