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비판적담화분석의 방법론에 근거하여 환구시보 사설이 만들어내는 코로나19 국면 담화질서(Orders of Discourse)의 양상과 그 질서의 재편 과정을 고찰하고자 한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20년 1월 19일∼3월 18일, 60일간 환구시보 사설 제목에 드러난 코로나 국면은 어떤 담화 전개 양상을 드러내는가? 둘째, 같은 기간 환구시보 사설의 상호텍스트성을 드러내는 반복적으로 사용된 표현의 의미와 기능은 무엇이며 이는 어떤 사건과 관련되어 소환되는가? 셋째, ‘미디어 전쟁’을 통한 정치화 전략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자료로 2020년 1월 19일∼3월 18일, 60일간 환구시보 사설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환구시보 사설 제목과 내용을 통해 드러난 담화질서의 전개 양상은 다음과 같다. 1) 중국정부에 대한 인민들의 비난을 잠재운다. 2) 의도적으로 미국과 대립각을 세워 애국심을 고취한다. 3) 인민을 결집하고, 미국에 그 책임을 넘기는 치열한 ‘미디어 전쟁’을 통해 모든 사안을 정치화한다. 둘째, 사설의 상호텍스트성이 보이는 표현은 “落井下石”과 “亚洲病夫”가 핵심이 된다. 이 두 표현은 반복적으로 사용되어 패턴화된 담화 관행을 구성하여 중국이 ‘도덕적 우위’와 ‘정당함’이라는 정치적 이미지를 구축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즉 “落井下石”, “亚洲病夫”에 대하여 일반 대중이 가지는 ‘비도덕’과 ‘불쾌함’이라는 무의식을 불러일으킨다. 나아가 이 표현들은 미중 힘겨루기와 관련된 사건들마다 반복적으로 소환되어 일반 대중의 자각된 의식 수준으로 각인되어 이 담화관행이 만들어낸 정당성을 믿도록 조작한다. 이 담화의 프레임은 중국이 미국에게 하는 행위는 모두 도덕적이고 정당하며, 반대로 미국은 비도덕적이고 불의하게 보이는 이데올로기 왜곡 효과를 만들어낸다. 셋째, ‘미디어 전쟁’을 통한 정치화 전략에서는 1) 미국의 ‘미디어 전쟁’ 촉발 주장과 중국의 자위권 발동 이데올로기의 형성과 2) 협박과 회유의 이중 언어 전략을 핵심으로 보았다. 중국은 미국이 선제공격하였음을 ‘미디어 전쟁’ 관련 6편의 사설 속에서 지속적으로 밝히고 있다. 선제공격의 죄를 미국으로 돌려 자신들이 도덕적으로 우위에 있음을 알리고 싶어 한다. ‘미디어 전쟁’은 중국의 ‘체면(面子)’과 관련된 문제이다. 체면을 살리되 오래 끌고 갈 필요가 없는 전쟁인 것이다. 그 결과 사설은 협박과 회유의 이중구조가 교차하는 내용이 등장한다. 결론적으로 미국이 전파한 ‘동아시아의 병자’는 ‘중국 위협론’ 이데올로기의 새로운 버전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가상의 ‘중국 위협론’은 전 세계로 전염병이 확산해가며 눈에 보이는 실질적 ‘중국위협론’으로 변화되어 간다.


This study, based on the method of critical discourse analysis, examined the aspects of re/constructing the orders of discourse in the context of COVID-19 through the Global Times editorials. The research questions included: First, how have the headlines of the Global Times developed the construction of discursive patterns in the coronavirus phases for 60 days from January 19 to March 18, 2020? Second, what are the meanings and functions of the repetitive patterns of expression revealing the intertextuality of the editorials of the Global Times, and what events triggered those recursive patterns? Third, what are the strategies of politicization through the media war? The data included the editorials of the Global times during that period.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 the revealed discourse orders were intended to: 1) decrease the people’s criticism of the Chinese government, 2) intentionally establish a confrontation with the US to promote patriotism, and 3) politicize all matters through a fierce media war that brings people together and transfers their own responsibilities to the US. Second, the essential expressions showing the intertextuality through the editorials pertained to “Nakjeong-Haseok,” meaning throwing a stone to a person fallen in a well, and “Donga-Byeongbu,” meaning the sick man of Asia. These two expressions are used repeatedly to form a patterned discourse practice and play a key role in China's effort to build a political image of moral superiority and justice. In other words, these two patterns of expression enable the Chinese public to unconsciously evoke immorality and unpleasantness about “Nakjeong-Haseok” and “Donga-Byeongbu.” Furthermore, these core expressions are recursively recalled in any relevant events for the conflicts between the US and China and thus, are entrenched in the Chinese minds, manipulating them so that they may believe in the legitimacy created by the discourse practice. Therefore, the constructed frame of discourse producing ideological distortion helps people pretend that everything that China does to the US is moral and just while whatever the US does to China looks immoral and unjust. Third, the core politicization strategies through the media war lie in 1) the allegation of triggering a media war by the US and the formation of China's self-defense ideology and 2) threatening and conciliating as double-layered linguistic strategies. China continues constructing ideology in the six ‘media war’-related editorials that the US had been preemptively attacked. As they make excuses to blame the US for the sin of preemptive strikes, they intend to let the public know that they are morally superior. The media war is a problem related to the “face” of China. It is a war that saves their face but does not need to be pursued for a long time. As a result, the editorials reveal the intersection of the dual structure of the threat and conciliation. In conclusion, the “Sick Man of Asia” can be seen as a new version of the “Chinese Threat Ideology.” However, the hypothetical “Chinese Threat Ideology" has been transforming into “visible devastating Chinese threats” as the pandemic has spread worldwi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