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쓰기’에만 집중하는 글쓰기 교육보다는 사고의 능력을 확장하 는 읽기의 영역을 중시여기고 이를 쓰기에 접목시켰을 때 쓰기 능력이 훨씬 더 커진다는 것은 이제 분명한 사실이다. 여기에 다매체 시대를 살고 있는 21세기에 리터러시 교육은 다양한 미디어를 활용한 교육 환경에서 핵심 영역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고는 비판적-사고의 확장을 위한 미디어리터러시-글쓰기로서의 비평문 작성법을 제시함으로써 미디어 리터러시 능력을 함양함과 동시에 글쓰기 능력을 함양하는 방법을 찾아보고자 한다. 본 글에서 제시하는 문제는 크게 두 가지이다. 첫째, 다매체 시 대가 원하는 다양한 매체를 읽고 이해할 수 있는 미디어리터러시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과 사고의 확장을 위한 글쓰기 교육을 어떻게 접목할 것인가. 둘째, 학생들이 생산자로서의 글쓰기를 수행하고 완성한 글쓰기가 하나의 텍스트가 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는 미디어리터러시-글쓰기의 모형은 어떻게 만들 수 있는가. 리터러시-글쓰기에서 핵심은 학습자들이 정보를 수용하는 것만 아니라 비판적 수용을 통해 새로운 자료를 생산하는 생산자가 되게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고는 미디어리터러시 글쓰기로서의 영화비평문 작성법을 제언하고자 한다.


It is a definite fact now that a writing ability is much greater when putting emphasis on the domain of reading for expanding an ability of thinking rather than writing education, which only focuses on ‘writing’ and when applying this to writing. At this moment, literacy education is a key domain of educational environments using a variety of media in the 21st century that is a multi-media era. Accordingly, this paper aims to seek how to develop and improve a media literacy ability and a writing ability at the same time by suggesting a review writing method as part of media literacy-writing for expanding critical-thinking. There are two questions that this paper raises. The first questions is about how to combine education for improving media literacy to read and understand diverse media that the multi-media era looks for with writing education for expanding thinking. The second question is about how to create a media literacy-writing model to help students write as producers and complete writing become a text. The point in literacy-writing is to enable learners to be producers of new data through critical acceptance of information. For achieving this, this paper suggests a method of writing film reviews as media literacy wri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