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전반적인 스트레스 경험에 대한 긍정적인 관점을 일컫는 성장적 스트레스 마인드셋이 심리적 안녕감에 기여하는 기제를 탐색하고자 하였으며, 그 관계에서 문제중심 대처 및 회피중심 대처와 스트레스 반응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만 18~25세 남녀대학생 37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자료를 바탕으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성장적 스트레스 마인드셋은 심리적 안녕감을 직접적으로 예측하지 못했으나, 그 관계에서 문제중심 대처 및 회피중심 대처와 스트레스 반응 각각의 단순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문제중심 대처와 스트레스 반응, 그리고 회피중심 대처와 스트레스 반응을 순차적으로 거치는 이중매개효과 또한 유의하였다. 본 연구는 성장적 스트레스 마인드셋이 개인의 심리적 기능성에 기여하는 기제를 파악하고, 그 과정에서 스트레스에 적절하게 대처하고 반응할 수 있는 역량뿐 아니라 스트레스 자체에 대한 관점의 변화가 중요함을 밝혔다. 이를 통해 다양한 스트레스에 노출되는 발달적 전환단계에 놓인 대학생 집단의 심리적 안녕감 증진을 위한 개입의 방향성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mechanisms by which a stress-is-enhancing mindset, which refers to a positive view of stress, affects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undergraduate students as well as the mediating roles of problem-focused coping, avoidance-focused coping, and the stress response. For these purposes, survey data from 370 undergraduate students aged 18 to 25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stress-is-enhancing mindset does not directly predict psychological well-being, but it has indirect effects through problem-focused coping, avoidance-focused coping, and the stress response as mediators. These results suggest the need for interventions to develop an individual’s internal capabilities to cope with and respond to stress appropriately in promoting psychological well-being. More fundamentally, it is important to have a healthier and more flexible perspective on stress and its eff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tilized to help ensure the healthy development of undergraduate students and to assist in their successful transition to adultho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