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시각장애성인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전문 강사와 특수교육 전문가의 협업에 의해 개발하고, 그 적용가능성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다양한 문헌 분석을 통해 시각장애성인의 요구가 높게 나타난 반면, 프로그램 보급이 미비한 무용 프로그램을 무용 강사와 특수교육 전문가들의 협업에 의해 개발하였으며, 시각장애인 평생교육기관에서의 시범운영 및 모니터링 과정을 통해 프로그램을 수정⋅보완하였다. 프로그램 종료 후에는 기관 담당자 및 학습자를 면담하여 프로그램의 현장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시각장애여성의 자기표현력 신장을 위한 무용 프로그램 12회기를 개발하였으며, 장애인 평생교육 현장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프로그램 운영 초기와 과정 중의 모니터링과 학습자 및 담당자 면담을 통한 수정은 프로그램의 완성도를 높였다. 프로그램 모니터링 결과, 각 영역별 점수의 전체 평균은 4.71점으로 매우 높았으며, 학습자를 대상으로 프로그램의 만족도를 평가한 결과 만족도가 평균 4.92로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결론적으로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개발한 프로그램의 바람직한 운영 방안을 제시하고 제한점과 더불어 후속연구에 대한 제안점을 제언하였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develop lifelong culture and art education programs for visually impaired adults in cooperation with professional instructors and special education experts, and explore its applicability. Method: Many references showed that there is a high demand for the programs by visually impaired adults. However, a "dance" program which has been rarely adopted was developed so that lifelong learning institutions for visually impaired people can improve their programs through test run and intent monitoring. Results: 12 sessions of the dance program were created to enhance self-expression by visually impaired women. The sessions were a test run in lifelong education program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Early and in-process monitoring and revision through interviews with learners and staff raised the completeness of the program. As a result of the program monitoring, the overall average of scores in each area was very high at 4.71 points, and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satisfaction of the program with learners, the average satisfaction was very high at 4.92. Conclusion: This study proposed better ways to operate this program through a series of steps and suggested limitations and tasks to be done in the follow-up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