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장식석검의 시·공간성을 통해 장식석검과 비파형동검의 관계를 토대로 한 석검의 비파형동검모방론을 재고(再考)하고, 남부동해안지역에서 시·공간적으로 차별화되었던 유행과 존속으로 장식석검의 의미를 제고(提高)한 연구이다. 현재 남한지역 청동기시대 석검의 기원과 형태의 변화 원리는 장식석검을 매개로 하는요서·요동지역 비파형동검모방론에서 구해지고 있다. 그런데 장식석검의 시간적 위치와 장식석검을 공반하는 유구·유물복합체의 편년안 사이에 서로 다른 논리가 공존하는 것이 감지되어 관련 자료에 대한 검토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장식석검의 시·공간성을 검토한 결과, 장식석검은 영남지역의 형산~태화강유역을 중심으로 전기 후반~ 중기 전반 주거지에서 주로 사용되었던 것으로 확인된다. 장식석검의 상한은 비(非)장식석검보다 이르지 않았을 뿐더러, 그것은 다양한 석검과 함께 사용되었던 것으로 파악된다. 이 일대는 자연·인문지리적 특성상 송국리문화의 유입이 저조했던 권역인데, 장식석검을 부장품으로 활용하였던 지역성도 간취된다. 이와 같은 맥락을 고려할 때 장식석검은 석검의 최고 형식이기보다는 남부동해안지역에서 성행했던 한 종류로 보는 것이합리적이라고 생각된다. 그러므로 장식석검이 요동과 요서지역의 비파형동검 중 무엇을 더 닮았고 모방했는가는 남한 전체 석검의 기원과 변화를 논하는 것과 별개의 문제라고 판단된다. 한편, 장식석검은 본래 석검을 사용하던 집단이 청동제 장식이 부착된 동검의 모티브를 석검 제작에 응용해 만든 도구로 추정된다. 그리고 그것은 남부동해안지역의 주민들이 토착 기술에 새로운 요소를 융합하여발전시킨 문화적 소산으로 해석된다. 이에 필자는 검단리문화가 기존과 새로운 문화 요소들이 공존하는 시기를 거쳐 형성된 장기적인 산물이라는 점에 주목하여, 장식석검도 검단리문화로 진화해 나가는 남부동해안지역의 독특한 문화 구성 요소로 볼 것을 제안한다.


Studies on the origin and principles of the modification of Bronze Age ‘polished stone daggers’ in South Korea are generally based on the theory that they were made in imitation of ‘mandolin-shaped bronze daggers.’ It is also generally maintained that ‘decorative polished stone daggers’ are an important link illustr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andolin- shaped bronze daggers and polished stone daggers, based on their morphological similarity. However, this article argues for the need to reconsider the imitation theory due to mutual contradictions that exist in terms of temporality and spatiality, and instead, proposes a new perspective regarding the meaning of the differentiation that can be observed in terms of the prevalence and persistence of ‘decorative polished stone daggers’ in the southeast coastal area, based on an examination of their spatio-temporal characteristics. In this area where the Songguk-ri Culture rarely left its mark, decorative polished stone daggers were distinctively buried in burials as grave goods while at the same time being continuously used with different types of polished stone daggers in everyday contexts. It appears that, around the first millennium B.C., under the diverse influx of the Mandolin- shaped Bronze Dagger Culture of the Korean Peninsula, people in the southeast coastal area made decorative polished stone daggers by adopting the existing stone dagger making technology, mimicking the motifs of the bronze dagger with a semicircular and small circular intaglio decoration on the shaft. Therefore, it seems that the decorative polished stone dagger was an unique kind of polished stone dagger which reflects a regional evolution in the material culture of the southeast coastal area. In this respect, it is also proposed that the decorative polished stone dagger can be regarded as a significant part of the Geomdan-ri Culture, which was formed through a period of coexistence between the indigenous culture and new cultural ele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