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농촌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여성 노인들의 풍수해 피해경험과 극복, 결과를 다룬 사례연구이다. 연구에는 풍수해를 경험한 15명의 농촌지역 여성 노인이 참여했다. 연구자들은 Stake(2005)가 제안한 범주적 결집방법으로 자료를 분석했다. 자료분석 결과 61개의 개념, 12개의 범주가 구성되었다. 재난 피해경험의 범주는 생활기반의 붕괴, 공포의 재현, 지원품 분배의 소외, 성적수치심, 붙박이 부엌데기로 나타났다. 회복장애요인의 범주는 젠더권력의 열세, 지지체계의 결여로 나타났다. 회복과정과 맥락의 범주는 공동체 정신의 부활, 강인한 풀뿌리 리더십으로 나타났다. 재난 극복의 결과는 주체적 임파워먼트, 강화된 재난 대응력으로 일상의 평온 유지, 남은 여생의 소중함 인식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근거로 재난불평등, 사회적 자본, 재난 회복력에 대한 논의를 했고, 사회복지 실천의 방향을 제시했다.


This study is a case study dealing with the flood disaster damage experience, overcoming and consequences of the female senior citizens in rural area. 15 female senior citizens in rural area were interviewed for this study. The authors analyzed data according to the Stake(2005)’s qualitative case study approach. As a result of the data analysis, fifty nine conceptions and twelve categories were identified. The categories of disaster damage experiences were the collapse of the infrastructure, representation of fear, alienation of distribution of support, sexual shame and fittings kitchenmaid. The categories of recovery barriers were inferior gender power and lack of support. The categories of recovery process and context were revival of community spirit and strong grass-root leadership. The categories of disaster recovery outcomes were subjective empowerment, maintenance of daily composedness through strengthening of disaster response and recognition of the rest life’s valu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disaster inequlity, social capital and disaster resilience were investigated and the direction of disaster social welfare practice were propo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