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UDL 기반 통합체육에서 e스포츠의 효용과 활용방안을 알아보는 것이다. 코로나 19 확산에 따른 사회적 분위기에서 감염 확산을 예방하고 차단하는 차원에서 사회적 거리 두기와 재택수업이 실행되고 있다. 초등학교 저학년의 경우 온라인 수업에 어려움이 있다. 하지만 국가적 차원의 감염 확산을 차단하기 위해서 어쩔 수 없다. [방법] 이를 위하여 연구방법은 국내외 문헌을 분석하는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결과]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보편적 학습설계 기반 통합체육에서 e스포츠의 효용은 세 가지이다. 함께하기, 넘어서기, 즐기기이다. 2) 보편적 학습설계 기반 통합체육에서 e스포츠의 활용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학생의 사회성 형성을 위한 e스포츠대회 활용하기이다. 둘째, 장애학생의 운동 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e스포츠 활용하기이다. [결론] 현재 사회적 분위기에서 온라인 재택수업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e스포츠의 활용은 통합체육뿐만 아니라 일반 체육에서도 활용할 가치가 높다. 그동안 e스포츠가 온라인 게임이라는 부정적 인식에서 벗어나 이제는 우리가 관심을 가지고 활용방안을 찾아야 한다. 우리가 사회적 거리 두기가 한창 진행 중인 상황에서 UDL 기반 통합체육과 e스포츠 활용을 말하는 이유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utility and utilization of eSports in UDL-based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In order to prevent and block the spread of infection in the social atmosphere caused by the spread of COVID-19, social distance keeping and home lessons are being carried out. In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online classes are difficult. However, there is nothing we can do to prevent the spread of infection at the national level. [Method] For this purpose, research methods were used to analyze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Resul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re are three uses of eSports in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based on UDL. To be together, to go beyond, to enjoy. 2) 2) The methods of utilizing eSports in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based on UDL are as follows. First, it is to utilize eSsports competitions for social formation of disabled students. Second, it is the use of eSports to improve the athletic performance of disabled students. [Conclusion] The use of eSports in the course of online home lessons in the current social atmosphere is worthy of use not only in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but also in general physical education. In the meantime, we should move away from the negative perception that eSports is an online game and now we should pay attention and find ways to utilize it. This is why we refer to UDL-based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and use of eSports at a time when social distance is execu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