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한국 기독교가 가져온 정체성과 사회를 보는 시각에 대하여 다시 묻고, 그 해답의 과정을 찾는 시도로서 사회 현상을 분석하여 새로운 접근 방법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한국 사회의 정치-경제- 역사적 현안에 놓여있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다루면서 탈식민주의 여성주의라는 렌즈를 사용하여 사회를 보는 거리와 시야를 확보하고, 그방법론을 통해 국가적 위력과 억압의 문제를 다룬다. 이때 두드러지는사회적 특징과 대상, 그리고 그 대상에 대한 해석 과정을 통해서 기독교신학이 한국 역사와 사회에 어떻게 접근할 수 있는지 보고자 하는 것이다. 역사 속에서 제국주의와 가부장제에 의하여 이중적 억압을 당했던피해자 여성들의 내러티브와 실천적 행위를 통해, 증인의 주체성과 증언의 실천성이 시민 사회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가 살펴본다. 이러한 한국역사와 시민 사회를 공유하고 있는 한국 기독교는 앞으로 어떤 자세로대사회적 공헌을 할 수 있는가를 묻고, 그 대안을 찾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새로워지는 사회 변화와 사회적 정의 문제, 인간 본질에 대하여 기독교 신학은 어떤 통찰력을 가지고 대안적 시각을 제시할 수 있는지, 그 정체성을 모색하는 한국적 신학의 틀은 무엇을 갖추어야 하는지를 보고자한다. 이를 통해 여성신학적 주체와 더불어 다양한 주체를 연결할 수 있는 담론의 장이 확장되는 데 보탬이 되고자 한다.


This paper asks what is the identity of the Korean Church and what is its role in Korean Society. The narratives of Korean Women’s narratives who were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 and their testimony through the lens of Postcolonial Feminism are closely examined. I undermine the account of neocolonialism which seeks to justify the brutal force of colonialism and the logic of domination and patriarchy. The focus of the paper is on the witness and agency which enables citizens to participate in protest against Japanese Colonialism. This agency is key, not only to their dignity, but also to universal human right for women who have also experienced oppression in other country. I argue that the witness process that maintains the autonomy of the subject and the integrity of the community of interpretation support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eak and society, and that encouraging the witness process can be a role of religion. I offer the imaginative theology for the Korean Community and Christianity as Reunification-Peace-The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