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의료기관 종사자들의 애사심과 애착심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것이다. 연구 자료는 전라남・북도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직접 설문조사를 통해 얻은 314부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이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 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도는 연령, 결혼 유무, 직종, 근무연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조직 몰입도는 연령, 학력, 결혼 유무, 근무연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의료기관 정보에 따른 직무만족도는 병원 유형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조직 몰입도는 병원 유형과 인증 여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직무만족도는 조직몰입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몰입 하위 요인 애사심, 애착심, 윤리적, 특별한 대안은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직 몰입도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조직 몰입도는 직무만족도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dentified the factors that the loyalty and affection of medical institution workers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A direct questionnaire study was used as a final assay data, which was from 314 health care workers who work for a nursing hospital, hospital, and general hospital located in Jeollabuk-do,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 job satisfaction based on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age, marital status, occupational description, and the years of employment, and a occupational commitmen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age, academic career, marital status, and the years of employment. Second, a job satisfaction based on medical institution information show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 type of hospital, and occupational commitment show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 type of hospital and a certification status. Third, job satisfaction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with occupational commitment, especially with loyalty, affection, ethical and special alternatives, which are subfactors of occupational commitment. Fourth, with the result of the impact of the occupational commitment on job satisfaction, occupational commitment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