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기혼여성의 불안정성인애착과 SNS중독 경향성의 관계에서 자기중심성과 소외에 대한 두려움(Fear of Missing out: FOMO)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확인하고자 하는 목적을 지닌다. 기존의 SNS중독에 관한 연구들이 청소년 및 대학생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나, 본 연구는 25세에서 59세의 기혼여성으로 그 대상을 확장하여 기혼여성의 SNS중독경향성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SNS를 사용하는 기혼여성 300명에 대하여 불안정성인애착, 소외에 대한 두려움, 자기중심성 및 SNS중독경향성 척도를 실시하여 각 변인의 관련성 및 매개효과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기혼여성의 불안정성인애착, FOMO, 자기중심성, SNS중독경향성은 서로 유의한 정적 상관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효과 검증 결과 자기중심성과 소외에 대한 두려움은 불안정성인애착과 SNS중독경향성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혼여성의 불안정성인애착이 SNS중독경향성에 이르게 하는 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자기중심성과 소외에 대한 두려움에 대한 이해와 교육이 SNS중독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데 있어 중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s how egocentrism and the fear of missing out (FOMO) contribute to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SNS addictive tendencies in married women. While previous researches on SNS addiction have primarily focused on adolescents and college students, this work expands the study group to married women of ages between 25 and 59 and considers various variables that may affect their tendencies to develop SNS addiction. Analyses on adult attachment, egocentrism, FOMO, and SNS additive tendencies have been performed against a group of 300 women with continued SNS use, and the inter-dependencies of each variable, as well as the mediated effect model, have been validated. Results indicat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ttachment anxiety, FOMO, egocentrism and SNS additive tendencies for married women. Validation through the mediated effect model further show that the link between attachment anxiety and SNS addictive tendencies is completely mediated by egocentrism and FOMO. Such findings suggest that an counseling program geared towards understanding one’s and FOMO may be critical for preventing and recovering from SNS addiction for married wom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