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道學詩의 구성 요소는 화자와 대상과 목표이다. 화자는 仁義를 갈구하는 자이고, 대상은 고유한 덕목을 지닌 인식의 객체이고, 목표는 불변의 도학적 가치이기 때문에 도학시의 구성 요소는 ‘화자→대상→목표’의 질서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질서의 형성 과정에서 현실과 이상의 넓은 間隙이 확인된다. 간극을 좁히기 위해서는 공력을 대거 투입하지 않으면 안 될 터인데, 화자는 그 자신의 위기지학이 보잘것없다고 하며 潔癖症을 드러낸다. 결벽증이 현실과 이상 간의 간극을 크게 인식하도록 하므로, 도학시에는 ‘결벽증의 작용 - 현실과 이상의 간극 인식’이라는 원리가 작동한다고 할 수 있다. 현실과 이상의 간극을 드러내는 까닭은 역설적으로 현실과 이상의 간극을 좁히기 위함이다. 간극을 좁히기 위해서는 적합한 수양 방법을 설정해야 한다. 居敬, 存養, 窮理, 理의 절대성 추구, 律身的 삶의 지향, 비타협적 자세의 견지 등이 화자가 제시하는 수양 방법이다. 이 수양 방법이 지향하는 가치는 두 가지다. ‘天理 體認의 순수한 삶 지향’과 ‘현실 극복을 위한 至治의 방향 제시’가 바로 그것이다.


The components of Dohak poems include the speakers, objects, and goals. The speakers are those who pursue Inui; objects are the objects of consciousness with their unique virtues; and goals represent immutable values of Dohak. There is an order of "the speakers→objects→goals" in Dohak poems. The gap between reality and ideal widens in the formation process of this order. There should be a massive input of effort to narrow down the gap, and the speaker reveals his or her mysophobia, saying that his or her own Wigijihak is trivial. Since mysophobia makes one recognize the gap between reality and ideal sharply, the principle of "operation of mysophobia - recognition of the gap between reality and idea" works in Dohak poems. The gap between reality and ideal is revealed to narrow it down. One should adopt proper cultivating methods to narrow down the gap. The speaker proposes pursuit of absoluteness in Geogyeong, Jonyang, Gungri, and Ri, orientation toward Yulsin-based life, and adherence to an uncompromising attitude. These cultivating methods are oriented toward two values: one is 'orientation toward pure life based on the profound recognition of Cheonri in the mind,' and the other is 'proposal of a direction toward Jichi to overcome the re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