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콜람은 대체로 임신·다산 기원 의식에서 유래했다는 전설이 설득력을 얻고 있지만, 이후 인드라·비스바카르마 등 인도 신화의 영향, 가면과 산니 잡신 스타일의 춤 등 산니 잡신 가면극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난다. 제1막과 제2막에는 여러 악마 의식의 잡신들, 그리고 마을에서 흔히 만나볼 수 있는 친근한 사람들 중에서 무작위로 선택된 인물들이 나열적으로 등장한다. 반면에 제3막은 연극적인 내용의 가면극으로서 춤, 대화, 마임 그리고 노래를 통한 서사적 이야기의 재현이다. 콜람은 옴니버스 스타일의 구성 방식, 등장인물 등 산니 잡신 가면극과 같은 기존 무속의식들의 영향을 받았다. 그리고 제3막에서 ‘마나메 카타바’, ‘산다킨두루 카타바’ 등의 레퍼토리는 팔리어로 부처의 전생담을 담고 있는 고대 인도의 불교설화집인 자타카 이야기로부터 유래했다. 콜람에 묘사된 풍자는 억압과 착취에 고통받던 공동체의 하위 계층 내에 깊게 숨겨진 아픔을 일반화한다. 또한 신, 신화적 인물, 잡신, 동물 등의 등장인물은 시골 생활 속 ‘세계 질서’의 진정한 모습을 반영하는데, 이 질서 내에서는 초자연적인 것과 사회적인 것, 그리고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이 서로 뒤얽혀 있다.


The origin of kolam gives legendary explanations of its birth stems from ancient pregnancy rites, however, other theories of Indian mythologies; Indra and Viśvakarma, and sanni demon masked thetre, masks and sanni demon dance, are shown to have influenced of the origin stories of kolam. Starting with the preliminary demonic rituals addressed to various gods, randomly selected villagers appear in the first and second act in sequence. On the other hand, the third act, as theatrical drama, reenacts epic narratives through dance, dialogue, mimes, and songs. Kolam was influenced of its omnibus style in structure and characters by existing shaman rituals, sanni demon masked dance. The repertoires of Maname Katava and Sandakinduru Katava in the third act originated from the ancient Indian Buddhist Jātaka story, which describes the previous life of Buddha in Pali. The satire portrayed and described by kolam generalizes deeply embedded pain of the lower-class communities suffering from oppression and exploitation. Also, gods, diety figures, and animals shown in the characters reflect the real images within the rural life of the ‘world order’, where the supernatural and the social, and the seen and the unseen are intertwin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