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한일 국교수립 전후 시기부터 현재까지 한일 양국이 갈등을 해소하고, 건설적인 관계를 구축하기 위해 어떠한 노력을 기울여왔으며, 이 과정에서 갈등관리메커니즘이 어떻게 형성되고, 변화해 왔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한일 간 갈등관리메커니즘은 소수 정부 관계자 및 고위급 관료 등에 의한 「점(点)과 점(点)의 연계」에서 ‘점(点)의 조직화’를 통한 그룹과 그룹의 「선(線)과 선(線)의 연계」, 이후 「선(線)과 선(線)의 다원적·다면적 복합연계」 형태로 변화하며 발전해 왔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양국 간 갈등 해결의 모색은 소수의 한정된 인원에 의한 폐쇄적 형태에서 보다 많은 인원이 참여하는 공개된 형태로 변모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메커니즘의 변화는 시대적 흐름과 사회적 요구에 부합하는 발전적인 변화를 도모하지 못하고 있으며, 새로운 시도와 외연확장, 시대를 앞서가는 선도적 노력의 부족 속에서 그 한계를 노정시키고 있다. 수십 년간 지속되고 있는 한일갈등 속 한일관계의 발전과 갈등 사안의 궁극적 해결을 위해 갈등관리메커니즘의 발전을 위한 보다 진지한 논의를 지속해 나가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discover how Korea and Japan have tried to overcome conflicts and build constructive relationships since the period surrounding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two countries. And how conflict management mechanisms have been formed and changed in the process. According to the study, the conflict management mechanisms between two countries shifted from links between a small number of government and high-level officials to links between expert groups. These links are more complex and involve a large number of interlocking. Despite the shift from small political links to a larger network of different groups, more needs to be done in order to effectively deal with conflicts between two countries. These mechanisms are resistent to developmental change in spite of current trends and social activism. The limits continue to be developed and broadened to a greater part of society while, at the same time, the groups responsible for the development of these mechanisms are fairly conservative in their approach, leading to delays or less change than anticipated. In order to develop Korea-Japan relations and ultimately resolve the conflict between the two countries, more sincere discussion about the conflict management mechanisms needs to be h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