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대졸취업자를 대상으로 직업가치관과 직무만족을 중심으로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GOMS, 2017)를 활용하여 대졸취업자 6,82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2017년 GOMS는 2016년 8월 및 2017년 2월 대졸자를 대상으로 2018년 9월에 조사한 자료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가치관이 행복에 미치는 결과이다. 발전과 전망, 인정 등은 삶의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주었다. 그리고 인정, 수행직무내용 등은 긍정정서에 정(+)의 영향을 주었고 부정정서에 부(-)의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소득과 환경은 긍정정서에 부(-)의 영향을 주었고 부정정서에 정(+)의 영향을 주었다. 둘째 직무만족이 행복에 미치는 결과이다. 인간관계, 적성과 흥미의 일치성, 개인의 발전성, 교육, 보수 등은 삶의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주었다. 그리고 인간관계, 적성과 흥미의 일치성, 개인의 발전성, 교육, 자율성, 근무시간, 보수 등은 긍정정서에 정(+)의 영향을 주었다. 또한 적성과 흥미의 일치성, 개인의 발전성, 근무시간, 보수, 복리후생제도 등은 부정정서에 부(-)의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직장평판은 긍정정서에 부(-)의 영향을 주었고 부정정서에 정(+)의 영향을 주었다. 이로써 대졸취업자의 직업가치관과 직무만족은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므로 이를 바탕으로 대학교에서는 직업가치관 정립을 위한 교육의 실시가 필요하다고 생각되며, 직장에서는 직무만족 향상을 위한 훈련과 제도정비가 필요하겠다.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occupational values and job satisfaction on happiness for college graduate worker. Using The Graduates Mobility Survey(GOMS) 2017 Year and subjects of this surveys were 6,826 people who graduated from university. The study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s the result of occupational values on happiness. Development and prospect and recognition showed positive effects on life satisfaction. And recognition and job details showed positive effects on positive emotions but negative effects on negative emotions. But job details showed negative effects on positive emotions and positive effects on negative emotions. Second is the result of job satisfaction on happiness. Human relationship, a concordance of aptitude and interest, individual development, education and wage showed positive effects on life satisfaction. And human relationship, a concordance of aptitude and interest, individual development, education, autonomy, hours of duty and wage showed positive effects on positive emotions. And a concordance of aptitude and interest, individual development, hours of duty, wage and benefit system showed negative effects on negative emotions. But company reputation showed negative effects on positive emotions and positive effects on negative emotions. Therefore, occupational values and job satisfaction are an important factor in happiness of college graduate worker. Universities should introduce education of occupational values and company should introduce training programs of job satisfa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