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2015 개정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사회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세계시민교육 내용을 분석하여 장애학생을 위한 세계시민교육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연구의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해 특수교육 교과 전문가 세 명이 각자 Merryfield의 분석 틀을 이용하여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사회과에서 세계시민교육 관련 내용요소와 성취기준을 분류하였으며, 이후 세 명의 결과를 비교하여 서로 일치되는 내용요소와 성취기준을 분석결과로 도출하였다. 또한, 분석결과의 내용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15년 이상의 세계시민교육 경력이 있는 일반교육 사회과 교사에게 전문가 검증을 받았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첫째 간학문적인 이해와 상호작용 및 의사소통 내용을 강조해야 한다. 둘째 비판적 맥락에서 편견 해소와 도덕 교육의 중요성 인식하기 위한 내용을 강화하여야 한다. 정책 및 현장에서의 실제를 위한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 다원주의 관점에서 다양한 문화를 존중하는 태도를 기를 수 있도록 교육과정의 내용을 더욱 풍부하게 해야 한다. 둘째, 사회과 교육의 지향점을 세계시민교육에 둔다는 것은 기본적으로 지구적 세계관의 습득뿐 아니라 인권과 다양성 존중, 배려와 평화적 갈등 해결의 요소까지를 포함하는 광의의 교육적 시도로 해석(허수미, 2018)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by analyzing the content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the curriculum of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the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that was revised in 2015. The research method of this study is as follows. In order to secure the reliability of the study, three experts in the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used Merryfield's analysis framework to classify the content elements and achievement standards related to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the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The content elements and achievement criteria to be derived were derived from the analysis results. In addition, in order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contents of the analysis results, experts were verified by general education social studies teachers who have more than 15 years of experience i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he conclusion of the study is as follows.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In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the first interdisciplinary understanding,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should be emphasized. Second,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content to resolve prejudice and recognize the importance of moral education in a critical context. The policy and the implications for actual in the field are as follows. First, the contents of the curriculum should be made more abundant in order to develop an attitude that respects various cultures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pluralism. Second, placing the goal of social studies education i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a broad educational attempt that includes elements of respect for human rights and diversity, consideration and peaceful conflict resolution as well as the global worldvie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