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1980년부터 2018년까지 잡지 ≪고시계≫에 실린 406건의 합격 수기를 자료로 사법시험(司法試驗) 합격을 향한 수험생들의 욕망의 역동을 탐구한다. 이론적 인 관점에서 이 연구는, 제도에 연루된 행위자들의 집합적 심리에 주목하는 동시에, 수 험생들의 체험 논리(페이션시)에 초점을 맞춘다. 우리의 발견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진다. 첫째, 수험생들은 ‘입문 → 유폐/금욕/희생 → 응시 → 탈락/합격’의 프로세스를 겪어나가면서, 제도가 부과하는 압력에 적응해 가는 ‘감수자(patient)’의 성격을 갖는다 는 점이다. 둘째, 이런 감수자적 위치에서 수험생들은 최종 합격을 위한 자신들의 심적 능력을 조직해 실천하는데, 이 능력은 기본적으로 생존주의적 욕망과 능력주의적 믿음 의 결합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이다. 생존주의적 욕망은 합격/도태의 갈림길에서 ‘합 격’을 향한 충동을 지칭하며, 능력주의적 믿음은 이런 생존에의 돌진에 도덕적 정당성 을 부여하는 ‘공정성’에의 신뢰를 가리킨다.


This study explores the dynamics of the desire for the success in the Korean Bar examination, by analyzing 406 memoirs published in the journal Gosigye between 1980 and 2018. From the theoretical point of view, this study focuses on the psycho-social dimension of the agents engaged in the Bar examination, and also on their patiency signifying the power to suffer, in contrast to their agency meaning the power to act. There are two major findings. Firstly, the examinees are not so much the agents as patients who adapt to the pressure of the institution going through a process of ‘initiation → confinement/asceticism/ sacrifice → exam-taking → fail/pass’. Secondly, these examinees mobilize and organize their psycho-agency in order to pass the examination, which is composed of survivalist desire and meritocratic belief. Survivalist desire refers to the drive for the pass, while meritocratic belief designates the shared justification of the fairness of the ba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