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조미수호통상조약(1882)의 관전 포인트는 제1조에 조선이 중국의 속국임을 밝히는 이른바 “속방조관(屬邦條款)”의 삽입여부였다. 조미수교의 전권을 부여받은 미국측 대표 슈펠트(R.W.Shufeldt) 제독은 “속방조관”은 조선과 미국이 대등한 관계에서 조약체결 하는 것을 저해한다는 명분으로 이를 명시하고자 한 청측의 시도를 좌절시켰다. 따라서 조미조약은 조선이 정치적으로 속국에서 독립국으로 인정받는 국제법적 근거가 되었으며, 경제적으로 특정국에게 독점과 특권을 허용하지 않는 기회균등의 원칙이 관철되는 시장으로 개방되는 계기가 되었다. 그 결과 슈펠트는 미국의 번영은 아시아 국가와의 통상확대에 달려있다는 그의 신념을 실천에 옮길 수 있었다. “속방조관”에 대한 이홍장(李鴻章)의 구상은 미국을 청국과 더불어 조선을 공동으로 보호하는 국가로 포섭하는데 있었다. 이는 이홍장이 일본의 류큐(琉球)병합(1879)과 러시아 레솝스키(С.С.Лесовсий) 함대의 극동원정(1880-1881)을 계기로 러‧청 전쟁위기를 겪으면서 러일 共助에 맞선 美淸 방위협력을 기대했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이홍장은 슈펠트가 “속방조관”에 동의한다면, 전통적인 조청관계를 바탕으로 미국과 방위협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에 조미수교는 조선의 향후 지위에 대한 광범위한 스펙트럼을 제시했다. 미국과 대등한 외교관계를 수립한 조선은 청국에 대한 전통적 속방의 지위에서 벗어나 독립국으로 발돋움하고자 했던 반면, 청국은 조미수교 이후 “조중상민수륙무역장정(朝中商民水陸貿易章程)”을 체결(1882.10.4.)함으로써 오히려 조선의 속국화를 강화하였다. 그 결과 조미수교를 계기로 조선의 국제적 지위는 독립국과 속국 사이에서 진자운동을 하게 된 바, 이는 한반도에 대한 미청간의 패권경쟁과 연동하게 되었다.


The key point of Treaty of Peace, Amity, Commerce and Navigation, Joseon-United States Treaty (1882) was whether or not to insert the article for dependency of Korea on Qing dynasty. Commodore Shufeldt, the U.S. representative granted full authority from the US government, thwarted the attempt of the China to specify it for the reason of hindering the signing of a treaty on terms of equality and courtesy between Joseon and the United States. Thus, the treaty became the basis of international law for Korea in it’s history to be recognized as an independent country politically, and open market where would not allow monopolies and privileges by the principle of equal opportunity, to certain countries economically. As a result, Shufeldt was able to put into practice his belief that America's prosperity depended on trade with Asian countries. Li Hung-chang's idea of "dependency article" was to recruit the United States as a country that jointly protects Korea along with the Qing Dynasty. In the critical situations with Ryukyu annexation (1879) by Japan and the appearance of russian fleet led by admiral Lesovsky into the China sea, Li Hung-chang formed a scheme to cooperate with the U.S. in defense against Russia and Japan which led to the Russo-Chinese War crisis. Thus, if Shufeldt agreed to the "dependency article," Li wanted to seek defense cooperation with the U.S. based on the traditional Korea-Chinese relationship. In response, Establishing of Joseon(Korea)-U.S. diplomatic relations presented a broad spectrum of Korea's future status. While Korea, being on terms of equality with the U.S., wanted to move away from its traditional dependency status on the Qing Dynasty and become an independent country, the China tried to strengthen its tributary relations with Korea. As a result, Korea's international status became a pendulum movement between independent and subordinate countries, linking it to the hegemonic rivalry between U.S. and China on the Korean Peninsul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