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글은 홍이섭의 다산 경세학 연구의 특징과 성과를 밝히고, 이를 다산의 저술에 근거하여 비평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홍이섭은 『정약용의 정치ㆍ경제사상 연구』를 발표했는데, 이는 해방 이후의 남한학계에서 제출된 최초의 다산 경세학 연구였다. 이 같은 선구적 의의 외에도 홍이섭의 저술은 다산 경세학에 대한 연구에 있어 유의미한 성과를 담고 있다. 크게 두 가지가 있는데, 첫째로 홍이섭은 다산의 경세학이 그의 경학과 밀접히 연관되어 있음을 간파하고, 양자의 접점을 모색했다. 둘째로 다산 경세학의 내용과 구조, 그리고 추이를 논증했다. 이에 그는 『경세유표』와 『목민심서』가 각각 제도의 개혁과 향촌에서의 관리방안을 담았으며, 그래서 양자에 담긴 경세론과 경세안이 상호보완적이고 균질적이라고 간주했다. 또한 「전론」에서의 여전론을 다산의 최종적이자 이상적인 경세안으로 간주했다. 이 같은 성과에도 불구하고, 홍이섭의 연구에는 다산의 저작을 근거로 볼 때 두 가지의 한계가 있다. 첫째로, ‘유교(유교주의)’와 ‘봉건’에 전근대 동아시아의 후진성이라는 함의를 부여하고, 그 대척점에 ‘서학’과 ‘서구적 근대’를 위치시켰다. 이로 인해 경서와 고법에 대한 다산의 변화된 독법과 지향을 감지하지 못했다. 둘째로, 그는 다산의 경세 저작의 내용과 구조, 추이를 세밀하게 고증하지 못했다. 이로 인해 개별 경세서 내에서의 비균질성, 고법 독법의 변화와 이에 상응한 경세안의 변화 추이 등을 정합적으로 해명하지 못했다. 하지만 홍이섭은 척박한 연구 환경에서도 통섭적 시야와 방법론을 제시했는데, 이는 지금의 다산학 연구에서 더욱 요청되는 선구적인 업적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and achievements of Hong Yi-seop’s study about Tasan’s Theory of Statecraft and to criticize it based on Tasan’s writings. Hong Yi-seop authored A Study on Jeong Yak-yong’s political and economic thoughts, the first study about Tasan’s Theory of Statecraft submitted by the post-liberation South Korea. In addition to this pioneering significance, this book have significant achievements in the study of Tasan’s theory of statecraft. There are two main things. First, Hong Yi-seop noticed that Tasan’s Theory of Statecraft closely related to his study of Confucius classics, and sought points of contact between the two. Second, he demonstrated the content, structure, and trend of Tasan’s Theory of Statecraft. He regarded that Gyeongse yupyo and Mongmin simseo contained respectively the reform of the national system and the management plan in the local village, and that the theories and reformation plans contained in the two books were complementary and homogeneous. Despite these achievements, Hong Yi-seop’s research has two limitations based on the writings of Tasan. First, he gave the connotation of backwardness in pre-modern East Asia to ‘Confucianism’ and ‘Fengjian’, and placed ‘Western Modernity’ at the opposite point. As a result, he did not detect Tasan’s changed wiew points about the Confucian classics and Old Law. Second, he failed to elaborate on the contents, structure and trends of Tasan’s works on Statecraft. Therefore, it was not possible to explain the inconsistency within the individual writing, and the changes of reading about Old Law and the corresponding changes in the reformation plans. However, Hong Yi-seop presented a comprehensive view and methodology on the study of Tasan’s Theory of Statecraft even in the barren research environment, which is a pioneering achievement that is further requested now.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 , , , , , , , , , , , ,

Hong Yi-sup(洪以燮), Theory of Statecraft(經世學), 『A Study on Jeong Yak-yong’s political and economic thoughts』, Jeong Yak-yong(丁若鏞), Tasan(茶山), Joseonhak Movement(朝鮮學運動), Confucianism(儒敎主義), Fengjian(封建), Old Law(古法), Joenron(田論), Gyeongse yupyo(經世遺表), Mongmin simseo(牧民心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