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1970년대 박정희 정권은 식료품 생산을 위한 원료를 수급하고 침체된 농촌을 사회경제적으로 안정시키기 위해 원료농산물을 증산하려 했다. 이때 정권은 농가로 하여금 증산에 동참하도록 하기 위해 생산된 농산물을 뒷받침할 수 있는 수요를 확보해야 했다. 이는 곧 수요와 공급의 균형을 마련하는 일이었다. 당대 원료농산물 중 가장 많이 생산되고 있었던 고구마의 경우, 정권은 실수요자인 주정기업에 증산된 고구마를 인수하도록 지시했다. 수입추천권을 쥐고 있는 당국의 지시를 거부할 수 없었던 주정기업은 국산 고구마 이용을 확대했고, 이에 대한 대가로 원료농산물 수입을 허가받았다. 실제로 1970년대 중반 고구마는 증산되었다. 기업의 이해에 의존한 고구마 수급체계는 불안정할 수밖에 없었다. 1976년 주정기업은 고구마 인수를 기피했고, 그로 인해 발생한 피해는 농가가 떠안아야 했다. 1970년대 원료농산물의 증산은 한국농업이 자본주의적으로 재편되는 궤적 위에 놓여있었다. 그 과정에서 증산은 관철되었으나, 수요는 보장되지 않았다. 정책주체인 정권과 실수요자인 가공기업, 누구도 이 문제를 책임지지 않으려 하는 가운데 농산물 수급불균형은 구조화되었다. 과연 증산농정이 절정기에 발생한 함평 고구마 사건은 우연이 아닌 예리한 모순의 반영이었다.


In the 1970s, the Park Chung-Hee regime promoted to increase the production of raw agricultural product. In order to motivating farmers to take part in it, the government had to secure enough demand. It was a matter of creating a balanced in supply and demand. In the case of raw sweet potato, the government had passed the responsibility for taking over the sweet potatoes to the sprit(酒精) companies. Therefore the production of sweet potato increased in the mid-1970s. However, as it depended on the companies’ interest, the balance in supply and demand was fragile. Finally, a few spirit companies avoided purchasing sweet potatoes just for their own profit, and the damage was to be taken by farmers. The increase in raw agricultural products laid on the process of capitalist reorganization of Korean agriculture. In the process, production increased, but demand was not guaranteed. As a result of the irresponsible agricultural product increase policy, the imbalance in supply and demand was structured in agricul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