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국내 주요 걷기여행길에 대한 인식 및 이용행태를 파악하고자 제주올레길, 지리산둘레길, 해파랑길에 대한 최근 10년(2009.07- 2019.06)간의 온라인 포털(네이버/다음 블로그, 네이버/다음 카페)과 소셜미디어 서비스(트위터, 인스타그램)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텍스톰(TEXTOM)과 UCINet, NodeXL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걷기여행길에 대한 특성을 파악하였다. 세부적으로는 3개의 걷기여행길별 방문 목적, 동반자 유형, 감성 이미지, 숙박 장소, 해당 길의 특성, 해당 길의 명소 등을 TF 및 TF-IDF 값을 통해 산출하였고, 걷기여행길별 관심도 추이와 월별 관심시기, 주요 키워드도 규명하였다. 연도별 분석에서 해파랑길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료량이 증가하였고, 제주올레길은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리산둘레길은 관심도가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F 및 TF-IDF값 산출 결과에서는 제주올레길은 ‘맛집’과 ‘카페’가, 지리산둘레길은 ‘펜션’과 ‘민박’이, 해파랑길은 ‘맛집’과 ‘펜션’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감정어휘 분석에서는 3개의 걷기여행길 모두에서 ‘힐링’, ‘행복’의 표현들이 나타나 걷기여행의 정서적 의미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걷기여행객 니즈에 부합하는 콘텐츠 개발의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includes analysis of text data over the last 10 years (2009. 7- 2019. 6) from online portals and social media services targeting the JejuOlle, the JirisanDulle, and the Haeparang trails to identify the perception and use of walking trails. A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collected data using Textom program, Ucinet and NodeXL. Characteristics of each of the three walking trails were identified. Specifically, the purpose of visit, types of companion, emotional image, accommodation, characteristics of the trail, famous sites of the trail, and other informative characteristics were derived using TF and TF-IDF values for each walking trail. As a result, interest trends and major keywords for each walking trail we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findings of time series analysis by year, the data volume of Haeparang-gil has increased over time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JejuOlle-gil, and interest in JirisanDulle-gil has decreased. Calculation of TF and TF-IDF values for keywords have indicated that the two significant words for JejuOlle-gil were ‘restaurant’ and ‘cafe’ while JirisanDulle-gil showed ‘pension’ and ‘B&B’, and ‘restaurant’ and ‘pension’ for Haeparang-gil. Moreover, findings upon sentiment analysis based on emotional vocabulary showed that all three walking trails had expressions such as ‘healing' and ‘happines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fundamental reference to develop and improve contents that would fulfill walking travelers' nee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