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사상의학(四象醫學,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은 동무 이제마 (1937∼1900)가 창안한 것으로, 사상철학(四象哲學, Four Quadrants Philosophy)을 바탕으로 성립된, 사상(史上) 유래 없는 독특한 특징을 보이는 의학이다. 동무 가 ‘사상한(四象限)’이라는 발상을 정확히 언제 떠올렸는지 문헌상에 나타나는 기록으로는 확인되지 않는다. 동무의 대표적인 저작으로는 격치고(格致藁) (1880∼1893)와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1894)이 있는데, 격치고 첫 내 용부터 ‘사상한’ 도식이 나오는 것을 보면, 초기 발상은 격치고 찬술(撰述) 이전이었을 것이다. 이미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세계적인 철학자이자 통합 심리학자인 켄 윌버 (Ken Wilber, 1949∼)의 학문적 내용을 전체적으로 언급하는 개념은 “사상한(四 象限, AQAL(All Quadrant, All Level))”이다. 윌버는 이 ‘AQAL’을 자신이 만들어 낸 새로운 창안이라고 주장한다. 그의 말대로 근(近) 20년의 오랜 숙고기간(윌 버 모델 1기(1977∼1979)∼4기(1995∼2001))을 통해 나온 발상이다. 하지만, 동무의 격치고(1880∼1893)에 나타나는 사상한 모델은 윌버의 것과 동일한 것이다. 그래서 동무 의학의 특징이 한마디로 ‘사상(四象)’으로 표징(表 徵)되기에, 후대 학자들에 의하여 공식적으로 “사상의학(四象醫學)”으로 불린다. 윌버의 “AQAL(All Quadrant, All Level)” 또한 마찬가지다. ‘AQAL’의 구체적인 의미는 ‘온상한(All Quadrant)’, ‘온수준(All Level)’이지만, ‘AQAL’ 모형의 가장 큰 특징이 ‘네 상한’이기에 ‘사상한(四象限)’으로 번역한다. 이와 같이 동무의 의학과 윌버의 AQAL을 모두 ‘사상(四象)’이라고 명명하는 것은 우연의 일치가 아니라, 기의(記意)가 같기 때문이다. 그런데 현재 사상의학의 영문 표기는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SCM, 四象 體質醫學)”으로 통용되고 있다. 이로써 국내외적으로 동무의 ‘사상의학(四象醫 學)’이 윌버 ‘사상한(四象限, AQAL)’의 전범(典範)이 된다는 사실이 간과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동무의 사상의학과 윌버의 사상한의 기의(記意, signifié)와 기표(記標, signifiant)를 검토하고 그 대안을 제시하는 데서 인식 전환의 출발점 을 찾는다.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SCM) was founded by Dongmu Lee Je-ma(東 武 李濟馬, 1937-1900), and It has unique medical features built on the basis of the philosophy of Confucianism and Four Quadrants Philosophy(四象哲學, Sasang philosophy). SCM is a medical science with unique characteristics that cannot be found in history. His representative works are widely known in the world, such as Gyukchigo(Manuscript of Science, 格致藁) and Donguisusebowon(Longevity and Life Preservation in Eastern Medicine, 東 醫壽世保元). As is already widely known, the concept of referring to Ken Wilber’s ideological content as a whole is AQAL(All Quadrant, All Level). As a world philosopher and integral psychologist Ken Wilber(1949-) argues that AQAL is a new idea he created. As he says, the idea came from the end of the long period of pondering of 20 years(1st Wilber Phase, Wilber Model 1(1977-1979)∼4th Phase(1995-2001) period). However, Dongmu Lee Je-ma’s Gyukchigo and Donguisusebowon are based on the same AQAL model of Wilber’s. Donguisusebowon is a document written in 1894(the 31st year of King Gojong(高宗)’s reign), and Gyukchigo was written with a long, painstaking effort of about 14 years(1880-1893, King Gojong(高宗)’s 30). And the SCM clearly includes all five elements that Wilber calls for human evolution: four quadrants, levels, lines, states, and types. So SCM is officially called “Four Quadrants Medicine (四象醫學, AQAL Medicine)”. But there is a considerable lack of social awareness about it. In this paper, I examine the “signified(signifié, 記意)” and “signifier(signifiant, 記標)” of the Lee Je-ma’s ‘AQAL’ and find the starting point of the recognition transition in presenting the alternat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