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중심·놀이중심 교육과정인 2019 개정 누리과정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유아교사들의 교육 실천 변화를 위한 시도와 그들의 인식을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개정 누리과정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며 연수에 참여하고 교실에서의 실천을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있는 교사 4명을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참여교사들과의 개별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이를 분석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교사들은 놀이중심 교육과정을 실현하기 위한 출발로 교사의 계획, 의도, 힘을 내려놓기 위해 노력하였다. 둘째, 그런 변화를 통해 교사들은 유아들의 주체적인 능력과 놀이의 가치를 재발견 할 수 있었다. 셋째, 유아들은 주도적으로 놀이를 계획하고 제안하며 확장과 변형 등의 역동적인 놀이 모습을 보였다. 넷째, 참여교사들은 개정 누리과정의 교사 역할로 관찰과 놀이 참여를 강조하였다. 다섯째, 참여교사들은 명확한 기준과 틀의 부재로 인한 모호함과 불안을 극복하기 위해 교사가 교육과정 전문가가 되기 위해 연구하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고 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개정 누리과정의 정착과 실현을 위한 학문적, 실천적 제언들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early childhood teachers' efforts to implement 2019 Nuri Curriculum applying a child-centered and play-centered approach. The participants were four kindergarten teachers who have positive attitudes toward play-centered curriculum and possessing more than three years of teaching experience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dividual interviews with the participants.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s' efforts to implement play-centered curriculum were initiated by renouncing pre-planned activities, pre-set purposes, and the power to control children's activities. Second, in the course of such efforts, the teachers were able to develop a new understanding of children's subjective attitudes and capabilities as well as the values of children's play. Third, the children in the classrooms took the initiative in planning and proposing diverse play with dynamic nature in terms of its expandability and variation. Fourth, the participant teachers emphasized observation and participation in children's play as desirable roles of teachers. Fifth, in order to overcome feelings of uncertainty and anxiety caused by the lack of standards in the curriculum, the teachers suggested continuous study about children's play and developing professionalism.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were discussed and the necessity for further research were sugg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