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놀이방해 행동이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을 유아-교사 간 친밀한 관계가 조절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유아의 외로움을 예측하는 변인으로서 또래놀이에서 나타날 수 있는 유아의 놀이방해 행동과 유아가 지각하는 유아-교사 간 친밀한 관계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참여자는 만 4세에서 만 6세 사이의 유아 171명 및 그들의 어머니와 교사이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유아의 놀이방해 행동과 유아-교사 간 친밀한 관계는 유아의 외로움과 직접적인 관계는 없었으나, 조절분석에서 유아-교사 간 친밀한 관계가 유아의 놀이방해 행동이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력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유아-교사 간 친밀한 관계가 높을수록 동일한 수준의 유아의 놀이방해 행동에서 유아는 더 낮은 수준의 외로움을 보이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의 놀이방해 행동을 대체할 수 있는 사회적 놀이기술에 대한 개별 유아에 적합한 교육과 유아가 교사에게 친밀감을 느낄 수 있도록 교사와 유아 간의 정서적 상호작용 코칭을 위한 교사 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child-teacher intimate relationship on children’s disruptive play behavior and loneliness. This study is intend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wo variables, the children’s disruptive behavior during peer play, and their perceived child-teacher intimate relationship, on children’s loneliness. Research participants included 171 children aged 4-6, their mothers, and teacher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Both disruptive play behavior and child-teacher intimate relationship did not have significant associations with child loneliness. However, child-teacher intimate relationship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disruptive play behavior and child loneliness. Specifically, children showed lower levels of loneliness at the same level of disruptive play behavior when they had higher levels of child-teacher intimate relationship. This indicates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education for social play skills considering the individual child’s needs. Teacher education would also be indispensable regarding the development of emotional interactions with children in classro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