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유아 디자인 교육 관련한 국내 연구의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유아 디자인 교육의 의미를 고찰하고, 후속 연구를 위한 논의와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988년부터 2020년 3월까지 국내 유아 디자인 교육 관련 연구 29편(학술논문 22편, 학위논문 7편)을 1시기(1988~2011), 2시기(2012~2015), 3시기(2016~2020)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 디자인 교육 관련 연구는 디자인 분야 보다 유아교육을 포함한 교육 분야에서 더욱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둘째, 연구 방법에 있어 1시기는 경우 문헌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2시기에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가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고, 3시기에는 양적 연구만 나타났다. 셋째, 연구 목적별 동향 분석 결과 1시기에는 의미 고찰이, 2시기에는 효과, 의미 고찰, 사례 연구가, 3시기에는 효과가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넷째, 주제어를 범주를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 유아 디자인 교육 효과에 관한 주제어가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효과 중 창의성을 주제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이 밖에도 창의력뿐만 아니라 인지발달, 정서지능, 추론 능력 등 유아 디자인 교육의 다양한 효과에 대한 주제어들이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통해 유아 디자인 교육은 현시대 교육 사조의 변화에 있어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생각된다.


This study explored trends in domestic national research on infant design education, examined the meaning of infant design education, and provided guidance for discussions and suggestions for subsequent research. A total of 29 academic papers published from 1988 to March 2020 related to infant design education in Korea (22 journal articles and 7 dissertations) were examined. They were organized into period 1(1988~2011), period 2(2012~2015), and period 3(2016~2020). Results showed the following. First, research related to infant design education was conducted more often in education fields than in design fields. Second, in the first stage of the research method, literature research was the most common.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tended to increase in the second stage. In the third stage, only quantitative research was performed. Third, trend analysis sorted by research purpose, frequency of effect, meanings study, and case study showed an increase in period 1 and in period 2. Effect, meanings study, and case study increased in period 3. Fourth, the most common keywords for infant design education effect were examined by classifying them into categories. The most common research for effects was based on creativity. Other keywords have emerged for various effects of infant design education, including cognitive development, emotional intelligence, and inference skills as well as creativity.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infant design education is largely indicative of changes in the current educational tre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