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상호작용 과정에서 사용된 ‘是嗎’를 분석대상으로 하여 빈도와 분포 등에 대한 양적 분석과 담화기능에 대한 질적 분석을 통해 실제 속에서 발견되는 언어의 다양한 사용 양상을 실증적 관점에서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고는 먼저 분석대상으로부터 집계된 양적 결과를 제시한 뒤 각 집계값이 갖는 의미를 해석한다. 그런 다음 ‘是嗎’의 담화기능을 분석한 뒤 그것이 상호작용 과정에서 갖는 의미를 논의한다. 양적 분석에서, ‘是嗎’는 네 가지 위치에서 각기 다른 빈도로 출현하며 다양한 응답어와 호응하는 빈도를 보였다. 또한 사회 변인과의 양적 관계에서, 사회자의 ‘是嗎’ 사용 빈도는 게스트의 그것을 압도하였다. 이는 상호작용 유형과 그에 부여된 역할에 따라 언어사용이 상이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질적 분석으로서, ‘是嗎’의 담화기능은 (1) 명제 내용에 대한 확인 요구, (2) 담화 내용에 대한 확인 요구, (3) 청자로부터의 동의 요구, (4) 청자 의견의 인정과 이견의 완충, (5) 발화 지속과 정보의 구체화 요구, (6) 청자 의견의 조정 및 조율, (7) 주의의 환기 등이 관찰되었다. 본고는 자연 담화에 기초한 중국 언어 연구의 중요성과 언어사용 연구에서 사회 변인들에 대한 관찰의 중요성을 함축한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various aspects of the use of language found in practice through quantitative analysis of frequency and distribution, and qualitative analysis of discourse function as an analysis target for ‘是嗎’ used in the interaction process. To this end, this paper first presents quantitative results aggregated from the analysis target, and then interprets the meaning of each aggregated value. Then, after analyzing the discourse function of ‘是嗎’, we discuss the meaning of it in the interaction process. In quantitative analysis, ‘是嗎’ appeared at four different frequencies at four different locations, and responded to various responses. Besides, in the quantitative relationship with social variables, the frequency of use of ‘是嗎’ by the host overwhelmed that of the guest. This shows that the use of language can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interaction and the role assigned to it. As a qualitative analysis, the discourse function of ‘是嗎’ includes (1) a request for confirmation of the proposition, (2) a request for confirmation of the discourse contents, (3) a request for agreement from the listener, (4) recognition of the listener’s opinion and ease of conflict, (5) demand for continuation of speech and specificity of information, (6) coordination and coordination of listener opinion, and (7) appeal for attention. This paper implies the importance of Chinese language research based on natural discourse and observation of social variables in language use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