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취업성공패키지 민간위탁기관 서비스제공자들의 사업수행경험의 본질이 무엇인지를 탐색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취업성공패키지는 취업취약계층인 근로빈곤층에게 개인별 취업지원계획에 따라 통합적 취업지원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이들의 노동시장 진입을 체계적으로 지원하는 종합적인 취업지원사업이다. 연구를 위해 서울경기지역 취업성공패키지 민간위탁기관의 서비스제공자 7명을 대상으로 초점집단인터뷰와 심층면접을 진행하였으며, 인터뷰자료는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연구참여자들이 경험을 통해 드러난 취업성공패키지의 참여경험은 ‘제대로 된 취업지원에 대한 기대’, ‘취업성과를 위한 평가와 통제’,‘서비스제공 주체의 부품화’, ‘흔들리는 취업성공패키지’의 대주제와 9개의 구성요소, 31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연구참여자들은 취업성공패키지 사업을 수행하면서 취약계층을 위한 제대로 된 취업지원 사업으로서의 기대와 사명감으로 출발하였지만, 취업성과중심의 평가와 통제, 서비스제공 주체의 부품화 속에서 사업의미와 목적이 흔들리는 취업성공패키지를 경험하고 있었다. 이를 토대로 취업성공패키지의 제도개선과 발전을 위한 사회복지 실천적,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plore the participatory experiences in Employment Success Package of Service managers as field exper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Employment Success Package Policy which is the first integrated employment service tailor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and to derive for future improvement plans. The results were deducted from focus group interview with 7 service managers. The process of data analysis was carried out in accordance with the procedures set out in the phenomenological Giorgi’s method. The results of research showed that experiences of service managers could be classified in 31 sub-categories, 9 categories and 4 cluster themes. Those themes were summarized as “prospects for proper employment supporting service”, “evaluation and control system for employment rate”, “componentization of service manager(field experts)”, “faltered Employment Success Package”.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a basis for the social work intervention and policy implications for working po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