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아동의 귀납적 추론이 범주지식과 시각적 유사성 중 무엇에 근거를 두는지에 대한 이론적 논쟁의 확장과 정교화를 위해 수행되었다. 사물의 친숙 정도에 따라 범주지식과 시각적 유사성이 아동의 귀납적 추론에 미치는 영향력이 달라진다고 가정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두 종류의 실험이 실시되었다. 실험 1에는 90명의 4-5세의 아동(평균 연령 54개월)이 친숙한 사물의 명칭과 시각적 유사성을 근거로 한 귀납적 추론 실험에 참가하였다. 실험 2에는 120명의 4-5세 아동(평균 연령 56개월)이 친숙하지 않은 사물의 명칭과 시각적 유사성을 근거로 한 귀납적 추론 실험에 참가하였다. 친숙한 사물의 속성을 추론할 경우(실험 1) 사물의 명칭 유무와 관계없이 아동은 사물의 시각적 유사성이 아닌 범주 지식에 근거한 귀납적 추론을 하였다. 친숙하지 않은 사물의 속성을 추론할 경우(실험 2) 아동은 사물의 명칭 유무 및 자극 간의 시각적 유사 정도에 따라 귀납적 추론을 하였다. 또한 사물의 명칭 유무가 아동의 귀납 추론 시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and and sophistication of the theory on children's inductive reasoning which focuses on category knowledge and visual similar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e whether children's inductive reasoning depends on their familiarity with the objects or not. For this study,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Experiment 1, 90 4-to-5-year-olds(mean age=54 months) performed the induction of familiar object’s properties according to the name of familiar object and visual similarity between objects. In Experiment 2, 120 4-to-5-year-olds(mean age=56 months) performed the induction of unfamiliar object’s properties according to the name of unfamiliar object and perceptual similarity between objects. The results of Experiment 1 showed that when inferring the properties of familiar objects, regardless of whether the common names of objects were presented or not, children were able to ignore the external similarity between objects and perform inductive reasoning according to the category knowledge existing in their mind. The results of Experiment 2 showed that the common name of objects and the apparent similarity between objects both had significant effects on children's inductive reasoning score. At the same time, the common name between objects also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time required for children to make inductive reaso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