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몰입의 방식이나 정도가 학생들의 성취에 큰 영향을 주고 있다는 점에서, 최근 학생 몰입과 읽기 몰입에 대한 연구가 주목되고 있다. 그러나, 몰입 개념이 어떻게 정의되고 어떠한 속성들을 가지고 있는지가 여전히 불분명하며, 그와 유사한 다른 개념들과의 관계도 명확하지 않다는 점 등이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지적 속에, 본 연구는 몰입 연구를 위해 논의가 보다 활발히 이루어질 필요가 있는 쟁점들과 그에 따른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첫째, 읽기 동기와 읽기 몰입의 관계가 명확해져야 하고, 둘째, 읽기 몰입의 하위 차원으로 무엇이 왜 규정되어야 하는지가 합의되어야 하며, 셋째, 적성 혹은 사건으로서의 몰입 중 어떠한 관점을 왜 취해야할지 고려해야 함을 주장하였다. 또한 이 세 가지 쟁점이 서로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고, 읽기 몰입의 선행 조건, 읽기 몰입, 읽기 몰입의 결과가 서로 상호적 관계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The research on the influence of student and reading engagement on students’ learning achievement has attracted the attention of researchers and educators. However, there is ambiguity regarding the definition of the concept of engagement, its characteristics and dimensions, and the natur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ngagement and similar terms.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and clarifies three issues in reading engagement research and discusses solutions to resolve these issues. Specifically,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reading motivation and reading engagement should be clarified. Second, the necessary dimensions of reading engagement should be agreed upon. Third, as reading engagement can be perceived as either aptitude or event, which perspective is considered is important for researchers. In addition to recognizing that these three issues are intertwined, it must be noted that the antecedents of reading engagement, reading engagement, and the consequences of reading engagement are reciproc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