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에서는 임일유와 그의 아들이 가족들에게 보낸 언간을 모아 놓은 『叢巖公手墨內簡』과 『林滄溪先生墨寶國字內簡』에 나타난 상대경어법을 화계에 따라 살펴보았다. 본 논의를 위해 발ㆍ수신자의 관계를 검토하였다. 기존 논의에서 밝히지 않았던 부분을 『羅州林氏大同譜』, 『潘南朴氏世譜』, 『萬家譜』 검토를 통해 확인하여 임일유 일가의 가계를 정확하게 제시할 수 있었다. 또한 편지를 면밀하게 검토하여 화계에 따라 가족들 간 상대경어법의 사용 양상을 살펴볼 수 있었다. 상대경어법의 체계는 명령형을 중심으로 분류하는 전통적인 방식에서 벗어나 평서형을 기준으로 분류하였다. 중세국어나 17세기의 다른 자료들과 비슷하게 경어법 양상이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아들이 어머니에게 보낸 언간에서 ‘이다’류의 온말인 ‘이다’와 ‘이다’류의 반말인 ‘’이 교체 사용된 것을 통해 언간만의 언어 사용 특성을 재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honorification for reader in the Korean old vernacular letters of Naju Lim's Family which were published in the late 17th Century- Chongamgongsumumjagan(『叢巖公手墨內簡』) and Imchanggyeoseonsaengmukbogukjanaegan(『林滄溪先生墨寶國字內簡』). For this study, relative relations of sender and recipient of the letters were reviewed and genealogy of Naju Lim's family was revealed clearly through analysing ancient documents related with Naju Lim's family-Najulimssidaedongbo(『羅州林氏大同譜』), Bannamparkssisebo(『潘南朴氏世譜』), Mangabo(『萬家譜』). Also, the usage of honorification on the basis of speech levels between family members was found by inspecting the letters thoroughly. In this study, honorification for reader was classified in accordance with declarative forms while it was traditionally categorized according to imperative forms. From the process, aspect of using honorifications was shown similarly with other materials in the Middle and 17th Century Korean. Furthermore, characteristic in linguistic usage of Korean old vernacular letters were reconfirmed by investigating replaced phrase ‘hʌʌpnʌida(이다)’ and ‘hʌʌp()’ in the letters from son to moth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