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에서는 대눌 노상익의 『도강록』 소재 잡저를 중심으로 그 서술특징과 만주인식을 살펴 그것의 의의를 밝혔다. 대눌의 『도강록』은 그가 만주에서 보고, 듣고, 겪은 것들을 엮은 것이다. 여기에는 총 10여 편의 잡저가 수록되어 있으며, 만주의 풍속이나, 그가 체험한 장소에 대해 상세히 소개하고 있다. 대눌은 주로 ‘풍속에 대한 비판적 기술’, ‘체험한 공간의 역사와 전설의 혼합’이라는 서술방식으로 작픔을 구성하고 있었는데, 이를 통해 그가 만주를 ‘무질서의 공간’, ‘한반도의 영토’로 인식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도강록』 소재 잡저에서 저자가 국경 문제, 즉 영토 문제에 대해 자세히 기술하고 있는 점은 오늘날까지도 이에 대한 근거 자료로서의 가치와 의의를 충분히 지니고 있다. 이뿐만 아니라, 대눌은 지역에서 전해지는 전설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문학적 성격을 강화하기도 하였다. 대눌의 이러한 저술은 당대의 만주 문화를 파악하는 등 정보 전달을 한다는 것에서 의미가 있고, 또 오늘날 지명 연구 및 한중 문화의 교류에도 좋은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paper analyzes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and the perception of Manchuria in Daenool Sang-Ik Noh’s Dogangrok and sheds light on its value. Dogangrok is a compilation of writings wherein Daenool shares his experiences of Manchuria and which comprises ten pieces detailing Manchurian customs and places he visited. These writings can be divided into two major narratives, namely ‘the critical description of Manchurian customs’ and ‘the blend of legends and history regarding the places experienced’, which reveal that Daenool perceived Manchuria as a ‘place of chaos’ and a ‘Korean territory’. The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border issue, that is, of the territorial issue in the Dogangrok writings still has great value today as evidential materials. Furthermore, Daenool had soaked himself in local legends, which reinforced the literary character of Dogangrok. As Daenool's writings capture the contemporary Manchurian culture and provides insights on Manchuria’s situation at the time, they constitute an invaluable resource material for research into place names and Sino-Korean cultural exchan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