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사별 경험자를 대상으로 성인애착과 지속비애 증상의 관계에서 애도회피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성인 1,2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한 후, 사별 경험이 있는 576명의 데이터만을 선별하여 분석하였다. 설문을 통해 인구사회학적 정보와 성인애착(불안애착, 회피애착), 애도회피, 지속비애 증상을 측정하였다. 분석절차는 첫째, 기술 통계치 및 상관관계를 확인, 둘째,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측정모형을 검증, 셋째,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해 모형적합도와 변인 간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였으며, 마지막으로 부스트트래핑 절차를 거쳐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불안애착이 애도회피에, 애도회피가 지속비애 증상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매개효과 검증결과에서는 불안애착과 지속비애 증상의 관계에서 애도회피의 매개효과가 유의했다. 이는 불안애착이 높아지면 애도회피를 하는 경향성이 증가하고 그로 인해 지속비애 증상이 높아진다고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지속비애 증상을 경험하는 사람들에게 애도회피에 대한 개입을 고려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의의,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if the relationship between insecure attachment (anxiety/avoidance attachment) and prolonged grief (PG) is mediated by deliberate grief avoidance (GA). Participants in this study (1,200 adults) completed an online survey measuring demographic information, insecure attachment, GA, and PG. We only used data of 576 participants who experienced bereavement. The analysis procedure is as follow: First,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were conducted. Second, the measurement model was verified through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ir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used to verify the model fit indices a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Finally, through the bootstrapping process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mediation effect was verifi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ffect of anxiety attachment on GA and the effect of GA on PG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well as that GA mediated the link between anxiety attachment and PG.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