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외국인 학습자가 한국어 어휘의 다의적 의미를 사용하는 양상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를 위해 학습자 말뭉치(국립국어원)에서 이동 동사 ‘가다’의 용례를 수집, 정련하여 총 4,814개의 용례를 확보하였으며, 한국어 사전의 ‘가다’ 항목에 실린 의미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43개의 의미 유형으로 의미 주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초급에서는 43개 의미 중 총 12개의 의미가 사용되었으며 주로 ‘가다’의 기본 의미인 ‘한곳에서 다른 곳으로 장소를 이동하다(70.67%)’에 사용이 집중되어 있었다. 중급에 이르면 총 20가지 의미 유형이 나타나는데, 이 가운데 기본 의미의 비중은 54.08%로 다소 감소하고 ‘추상적 이동(9.23%)’, ‘신분의 변화(5.33%)’ 등의 사용이 늘기 시작한다. 고급에 이르면 총 31가지 의미 유형이 나타나 의미 사용 범위가 매우 넓어진다. 의미 내용 역시 ‘개인이나 사회의 이념, 가치, 관점 등의 이동’과 같이 매우 추상화된 의미로 확장됨을 알 수 있다. 이상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의 숙달도가 높아지면서 하나의 어휘를 맥락에 따라 다양한 의미로 사용하는 능력도 발달한다. 둘째, 이러한 의미의 확장은 구체성을 지닌 의미에서 추상화되는 방향으로 이행된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의 연구 결과에서 학습자의 숙달도가 의미 확장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고 한 주장과 대비된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aspects that occur in the proces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using multiple meanings of a polysemic word. For this research, we collected the usage of ‘kata’ as a locomotive verb from learner corpus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refined and secured a total of 4,814 usages. By analyzing the meanings of ‘kata’ within the Korean dictionary, we were able to develop a framework for semantic annotation. The result of the research indicated that 12 meanings out of total 43 were adopted in the beginner’s level, where the use of ‘kata’ was focused on its basic meaning ‘to move from one place to another (70.67%)’ In the intermediate level, a total of 20 different types of meaning appeared. The percentage of the basic meaning decreased to a degree, taking up 54.08% whereas its use depicting ‘abstract movement (9.23%)’ and ‘change of affiliation (5.33%)’ started to increase. At the advanced level, the range of meanings increased to 31 types. The respective meanings were found to expand to containing considerably abstract information such as ‘shift of belief, value, and perspective of an individual or a society’ The above can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first, the development of learners’ proficiency results in the competence to use a polysemy in diverse context, second, the expansion of meaning proceeds in the direction of concrete meanings to abstract meanings. These results are contrary to prior research that claimed learners' proficiency ineffective in expanding the range of mean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