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의 ‘문학의 본질’ 단원에 관해 고찰하고 문학의 본질을 재고한다. 인식적․윤리적․미적 기능으로 문학의 본질을 한정하는 관습은 잦은 교육과정 개정 작업에도 불구하고 유구하게 반복되었다. 그 상투성도 문제지만, 특히 문학의 윤리적․미적 기능을 강조하면 삶의 진짜 문제에 대한 직시와 통찰을 방해하고 학생들의 현실 대응력을 약화시킨다. 이 논문은 문학이 독자의 정신적 성장과 심리 치유에 기여한다는 명제 아래 특히 비도덕과 추함의 효과를 살펴본다. 이장욱의 소설 「고백의 제왕」을 통해서 평범을 초과하는 고통을 전시함으로써 독자에게 안도감을 선사하여 자기 객관화와 통찰에 이르게 하는 문학의 기능을 살펴본다. 또한 한강의 소설 『채식주의자』를 통해서 과민함과 연약함으로써 독자에게 삶의 본질을 비춰줄 뿐만 아니라 숨겨진 내면의 발견과 심성구조의 통찰로 이끄는 문학의 기능을 확인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nature of literature' section of high school literature textbook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rethinks on the essence of literature. The custom of limiting the essence of literature to cognitive, ethical, and aesthetic functions was repeated in a long and repetitive manner despite frequent works on revising the curriculum. Its cliche is also a problem, but especially emphasizing the ethical and aesthetic function of literature hinders facing and insight of real problems in life and undermines students' real-life responsiveness. This paper looks at the healing effect of immorality and ugliness, especially under the proposition that literature contributes to the spiritual growth and psychological healing of the reader. Through Lee Jang-wook's novel "King of Confession", this paper examines the function of literature that provides relief to the reader by displaying pain beyond ordinary, leading to self-objectivity and insight. In addition, through the novel Vegetarian by Han Gang, this paper identifies the function of literature that reveals the essence of life to the reader and leads to insight into inner discovery and mental structure by being hypersensitive and vulnera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