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영적 안녕감과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자료는 인천과 충청남도 지역에 재학 중인 중고등학생 660명에게서 수집되었다. 수집된 데이터의 분석은 SPSS 22.0 및 AMOS를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순차적 이중 매개효과의 개별 경로 유의성은 팬텀변수를 사용해 Bootstrapping 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가족건강성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실존적 영적 안녕감과 자아탄력성의 부분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가족건강성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실존적 영적 안녕감과 자아탄력성이 순차적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가족건강성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실존적 영적 안녕감과 자아탄력성의 순차적 매개효과 경로가 유의한 가운데, 실존적 영적 안녕감과 자아탄력성 각각의 단순 매개효과 경로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가족건강성과 실존적 영적 안녕감 측면에서 청소년들의 학교적응력을 높이기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piritual existential wellbeing and ego-resilience in the influence of adolescents' perceived family functioning on school adjustment.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660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living in Incheon and Choongcheongnam-do area.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and AMOS.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piritual existential wellbeing and ego-resilience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family functioning and school adjustment. Second, spiritual existential wellbeing and ego-resilience were mediated sequentially in the influence of adolescents' perceived family functioning on school adjustment. Third, single mediation effect of each spiritual existential wellbeing and ego-resilience were significant in the influence of adolescents' perceived family functioning on school adjustment. This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perceived family functioning and spiritual existential wellbeing of adolescents when seeking intervention to improve their school adjust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