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Around this time two years ago, North Korean leader Kim Jong Un pivoted to diplomacy after six years of blustery threats and self-imposed isolation, and metamorphosed into an international statesman, with the help of President Donald Trump. Yet two years and three Trump-Kim meetings later, we are still at the pre-summitry status quo, with Kim this month reaffirming North Korea’s position as a nuclear weapons power. The past 19 months of summits have not moved North Korea closer to denuclearization; rather, they have enabled North Korea to make their weapons more diverse, more mobile, more accurate, and more dangerous. The two sides appear to be keeping the option of additional diplomacy to occur, but the personalization of diplomacy between Kim and Trump has lessened US leverage necessary to convince Kim to abandon his nuclear weapons and has put the region in a more precarious situation in 2020.


2년 전 이맘때 북한 김정은은 6년간 거센 위협과 고립을 자초한 후 외교로 방향을 틀었고, 트럼프 대통령의 도움을 받아 국제적인 정치인으로 변신했다. 그러나 2년간 3차례에 걸친 트럼프-김정은 간 회담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여전히 김정은이 북핵 보유국으로서 북한의 입장을 재확인함으로써 정상회담 성사 이전의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지난 19개월에 걸친 정상회담은 북한의 비핵화를 이끌어내지 못했다.; 오히려 북한이 무기를 보다 다양하고, 자유롭게, 또 보다 정확하고 위험하게 만들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미국과 북한은 추가적인 외교가 있을 옵션을 유지하는 듯 보이지만, 김정은과 트럼프가 외교를 사유화하고 있기 때문에 북한의 핵포기를 설득하는 데 필요한 미국의 지렛대가 줄어들었다. 이것은 2020년 이 지역을 더욱 위태로운 상황으로 몰아넣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