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디지털 결제수단이 가지는 장점을 극대화하면서 동시에 신뢰성이 높고 효율적인 지급결제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주요국 중앙은행을 중심으로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캐나다와 싱가포르에서는 도매용 디지털토큰을 이용하여 효율적인 차세대 거액결제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프로젝트가 진행 중에 있으며, 현금 수요가 급격히 감소하고 있는 스웨덴과 중국에서는 누구나 사용가능한 소매용 CBDC 도입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도매용 디지털토큰의 경우 중앙은행과 은행의 자산규모 및 구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반면, 소매용 CBDC는 통화정책, 지급결제 및 금융안정 등 금융시스템 전반에 걸쳐 다양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소매용 CBDC 도입은 우선 현금을 대체하는 공신력 있고 편리한 새로운 디지털 지급결제수단을 제공하고 통화정책의 유효성도 전반적으로 제고하는 등의 긍정적 효과가 예상된다. 반면 예금을 기반으로 한 은행 자금중개기능이 위축될 우려가 있고, 은행예금이 무위험 중앙은행 디지털화폐로 쉽게 교환가능하게 됨에 따라 디지털런 발생 가능성이 커지는 등 잠재적 금융불안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도 있다.


In major economies, active research on Central Bank Digital Currency (CBDC) is underway to establish a highly credible and efficient payment system that maximizes benefits of digital currency. In Canada and Singapore, projects are being implemented to use wholesale digital token CBDC for an efficient next-generation payment system for large transactions. And, in Sweden and China, use of cash is dwindling fast and discussions on adopting retail CBDC are underway. While wholesale digital token does not affect central bank’s and commercial banks’ asset size or composition, retail CBDC can have diversified effects across the financial system including monetary policy, payment system, and financial stability. Introducing retail CBDC is expected to provide a credible and convenient digital payment tool that can replace cash, and also enhance overall effectiveness of monetary policy. However, on the other hand, its growing use might weaken banks’ role as a financial intermediary, and raise a risk of a digital run as bank deposits can be freely exchanged with risk-free central bank digital curren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