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서평논문의 목적은 『유럽과 북미 지역 접경지대 연구의 세계화(Globalizing Borderlands Studies in Europe and North America)』를 비판적으로 읽음으로써 현재까지 유럽과 북미 지역에서 진행된 접경지대 연구의 동향을 살피고 그 서사의 확장 가능성과 한계를 논하는 데 있다. 이 책은 고대에서 현대까지 유럽과 북미 지역의 접경지대들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사례연구들을 소개한다. 공동연구의 목적과 정의를 명확히 하기 위한 서론 챕터와 접경연구의 미래에 대한 전망을 다룬 짧은 결론 챕터 외에 총 10개 챕터로 구성된다. 이 챕터들은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현 접경연구에 중요한 시사점을 던져준다. 첫째, 이제껏 접경연구를 선도해온 유럽과 북미(대개 미국) 학계의 연구자들이 관심을 기울인 지역과 대상들에 대해 알 수 있게 해준다. 그렇게 접경연구의 현주소를 점검하고 축적된 성과들을 발판으로 다른 지역(특히 아시아)에 존재하는 다양한 접경지대에 대한 연구가 가능할 것인지, 소위 세계화라는 연구의 확장 가능성 또한 전망한다. 둘째, ‘접경지대’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떠올리게 되는 물리적(physical)인 공간으로서의 접경지대를 넘어, 개념적(conceptual)인 공간으로서의 접경지대를 소개한다. ‘개념적 접경지대’의 사례는 한 개인의 정체성에서부터 통치 방식, 종교, 경제, 사회제도, 가족, 노동, 공중보건, 젠더 문제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다. 그러나 한계점 역시 존재한다. 공동연구의 한계라고 할 수 있는 일관된 용어 사용의 부재, 유럽과 북미 지역이라는 배경적 한계 때문인지 여전히 제국주의 담론 내에서 접경지대를 이해하려 한다는 점, 따라서 여기서 그리고 있는 접경지대의 대부분이 갈등과 투쟁의 공간에서 벗어나지 못했다는 점 등이다. 그럼에도, 이 책은 여러 접경연구의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과 지정학적으로 대륙세력과 해양세력의 접경지대에 위치한 한반도의 현 상황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는 점에서 현재적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ritically read Globalizing Borderlands Studies in Europe and North America to examine trends in border studies conducted so far in Europe and North America and to discuss the expandability and limitations of the narrative. It introduces a variety of case studies covering the borderlands of Europe and North America from ancient to modern times. It consists of a total of 10 chapters, in addition to the introduction chapter to clarify the purpose and definition of the collaboration and the short conclusion chapter on the prospects for the future of borderlands studies. This volume has some important implications for current borderland research in two main respects. First, it can introduce us we the areas and targets that the leading researchers from European and North American academia (usually the United States’) have paid attention to. It also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borderland research and predicts whether it will be possible to study various border areas where exist in other regions (especially in Asia) based on accumulating academic achievements, as well as the possibility of expansion of so-called ‘globalization’. Second, it introduces the borderland as a conceptual space, beyond the border area as a physical space that is commonly thought of when it comes to ‘border’. Cases of “conceptual borderlands” can be applied to a number of topics ranging from an individual’s identities to the methods of governance, religions, economies, social institutions, families, labor issues, public health services and gender issues. There are, however, also some questions to be noted in the volume: the lack of consistent use of terminology, which can be considered general problems of collaboration studies; the fact that the authors still tend to understand borderlands within the imperialist discourse, perhaps because of their academic background is situated mainly in Europe and North America; the borderlands cases described here as the areas of conflict and struggle only. Nevertheless, the book is of significance in that it suggests a possibility of various borderlands studies and helps us to have better understanding of the current geopolitical situation imposed on the Korean Peninsula, which is located on the borderland between the continental and maritime pow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