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인형심리진단평가에 나타난 생애초기 부모상실 아동의 자기인식과 타인인식 그리고 또래관계의 상징체계 분석을 통해 생애초기 부모상실 아동의 특성을 파악하고, 이와 관련된 상징적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자료분석은 인형심리진단평가 매뉴얼의 분석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생애초기 부모상실 아동의 자기인식에서는 강함과 독립의 동물상징체계로 나타났다. 타인인식에서는 수 1과 수 2의 상징체계로 나타났으며, 각각 긍정과 부정의 의미체계가 혼재된 인식차원을 보였다. 수 1은 안전과 안정감, 통일성을 의미함과 동시에 단일성의 한계로 인한 고착, 가로막힘, 혼란스러움을 의미한다. 수 2는 마음의 균형, 긍정과 부정의 조화를 향한 소망을 의미한다. 또한 관계차원에서는 회피형, 목적지향형의 두 가지 유형의 관계구조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생애초기 부모상실 아동에 대한 인식의 이해를 제공했을 뿐 아니라, 아동의 경험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아동이 속해 있는 시설의 양육자에게 중재적 차원의 효과적인 정서적 개입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symbolic structures of children who experienced early parental loss. Through detailed analysis of the self-awareness, awareness of others, and the relationship patterns, results were obtained. This process strictly followed the method of psychological diagnostic assessment using symbolic figures. The self- awareness of those children was classified as a figure symbol system of strength and independence, whereas the awareness of others was into number 1 and 2. In number 1, structures such as stability, peace, and a hope for integration coexisted with fixation, obstacles and chaos. In number 2, balance of the mind together with the hope for harmony were shown. Futhermore, the relationship patterns were proved to be either avoidant or purpose-oriented. This study manages not only to provide valuable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those children but also act as primary information for the effective intervention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ir traumatic experiences.